레버 선천 흑암시: 두 판 사이의 차이

13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월 9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유전 ==
== 유전 ==
대부분의 경우는 <span style='color:blue;'>상염색체 열성</span> 형태의 유전 양상을 띠지만, 아주 간혹 상염색체 우성 형태가 보고되기도 한다. CEP290 (15%), GUCY2D (12%), CRB1 (10%), RPE65 (8%), LCA5 를 포함한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span style='color:blue;'>상염색체 열성</span> 형태의 유전 양상을 띠지만, 아주 간혹 상염색체 우성 형태가 보고되기도 한다. CEP290 (15%), GUCY2D (12%), CRB1 (10%), RPE65 (8%), LCA5 를 포함한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보고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LCA의 종류
|-
!종류||OMIM||유전자||위치
|-
|1형||204000||GUCY2D||17p13.1
|}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망막 소견은 정상 소견이거나 색소 변성, 가늘어진 망막 혈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아이가 눈을 비비는 증상이 흔히 동반된다. 눈 이상만 있는 형태와 다른 전신 질환을 동반한 형태로 나누기도 하나, 원인 돌연변이가 전신 질환을 같이 일으킨다는 증거는 없다. 정신 지체가 흔하게 동반되는데 환자의 약 20%가 정신 지체를 동반한다고 한다.
망막 소견은 정상 소견이거나 색소 변성, 가늘어진 망막 혈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아이가 눈을 비비는 증상이 흔히 동반된다. 눈 이상만 있는 형태와 다른 전신 질환을 동반한 형태로 나누기도 하나, 원인 돌연변이가 전신 질환을 같이 일으킨다는 증거는 없다. 정신 지체가 흔하게 동반되는데 환자의 약 20%가 정신 지체를 동반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