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삼투압 약제: 두 판 사이의 차이

3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월 17일 (월)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녹내장}}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