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 억제제: 두 판 사이의 차이

6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월 18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기전)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락 억제제 (ROCK inhibitor; Rho-assisted kinase inhibitor)'''
'''락 억제제 (ROCK inhibitor; Rho-assisted kinase inhibitor)''' 는 섬유주를 이완시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킨다.


전통적으로 약제의 표적이 되어온 이들 유출로들이 그간의 녹내장 치료에 지배적인 경로임을 감안할 때, 다른 약물들과 함께 ROCK inhibitor는 녹내장 치료를 위한 이상적인 보조 약물로 기대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약제의 표적이 되어온 이들 유출로들이 그간의 녹내장 치료에 지배적인 경로임을 감안할 때, 다른 약물들과 함께 ROCK inhibitor는 녹내장 치료를 위한 이상적인 보조 약물로 기대되고 있다.
5번째 줄: 5번째 줄:
Rho family (RhoA, RhoB, RhoC)는 작은 G 단백질로 GTP (guanosine triphosphate)에 결합되어 있을 때 활성화되고, GDP (guanosine disphosphate)에 결합되어 있을 때 불활성화된다. Rho 단백질은 TGF-β, endothelin-1 등에 의해 활성화되며, 세포의 수축과 이동, 세포질 분열, 세포 부착 및 신경돌기의 성장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활성화 상태의 Rho 단백질이 Rho-kinase에 결합함으로써 Rho-kinase가 활성화되며, 이 Rho-kinase는 미오신 L사슬 (myosin light chain) 을 인산화하여, 미오신-액틴의 상호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스트레스섬유 및 국소접착 물질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그 외에도 Lin-11/Isl-1/Mec-3 kinase을 인산화시키는 등의 작용을 통해서 Rho-kinase는 세포의 수축 및 경성도를 조절한다<ref>Tanna AP et al. Rho Kinase Inhibitors as a Novel Treatment for Glaucoma and OHTN. ''Ophthalmology''. 2018 Nov;125(11):1741-1756. [https://pubmed.ncbi.nlm.nih.gov/30007591/ 연결]</ref>.
Rho family (RhoA, RhoB, RhoC)는 작은 G 단백질로 GTP (guanosine triphosphate)에 결합되어 있을 때 활성화되고, GDP (guanosine disphosphate)에 결합되어 있을 때 불활성화된다. Rho 단백질은 TGF-β, endothelin-1 등에 의해 활성화되며, 세포의 수축과 이동, 세포질 분열, 세포 부착 및 신경돌기의 성장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활성화 상태의 Rho 단백질이 Rho-kinase에 결합함으로써 Rho-kinase가 활성화되며, 이 Rho-kinase는 미오신 L사슬 (myosin light chain) 을 인산화하여, 미오신-액틴의 상호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스트레스섬유 및 국소접착 물질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그 외에도 Lin-11/Isl-1/Mec-3 kinase을 인산화시키는 등의 작용을 통해서 Rho-kinase는 세포의 수축 및 경성도를 조절한다<ref>Tanna AP et al. Rho Kinase Inhibitors as a Novel Treatment for Glaucoma and OHTN. ''Ophthalmology''. 2018 Nov;125(11):1741-1756. [https://pubmed.ncbi.nlm.nih.gov/30007591/ 연결]</ref>.
== 기전 ==
== 기전 ==
방수 배출의 70%을 담당하는 주 배출로인 [[섬유주-쉴렘관 유출로]]에서는 섬유주 세포의 수축 정도 및 세포외 기질의 축적 정도에 의해 방수의 배출 정도가 결정된다<ref>Stamer WD et al. The many faces of the TM cell. ''Exp Eye Res''. 2017 May;158:112-123. [https://pubmed.ncbi.nlm.nih.gov/27443500/ 연결]</ref>. 따라서 선택적인 Rho-kinase inhibitor는 주 배출로에서 가장 많은 저항을 차지하는 섬유주 세포 및 쉴렘관 세포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킨다. Rho-kinase inhibitor 인 Y-27632를 쉴렘관 세포에 처치하였을 때, 밀착 연접의 붕괴 및 F 액틴의 중합이 해체됨으로써 (depolymerization)
방수 배출의 70%을 담당하는 주 배출로인 [[섬유주-쉴렘관 유출로]]에서는 섬유주 세포의 수축 정도 및 세포외 기질의 축적 정도에 의해 방수의 배출 정도가 결정된다<ref>Stamer WD et al. The many faces of the TM cell. ''Exp Eye Res''. 2017 May;158:112-123. [https://pubmed.ncbi.nlm.nih.gov/27443500/ 연결]</ref>. 따라서 선택적인 Rho-kinase inhibitor는 주 배출로에서 가장 많은 저항을 차지하는 섬유주 세포 및 쉴렘관 세포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킨다. Rho-kinase inhibitor 인 Y-27632를 쉴렘관 세포에 처치하였을 때, 밀착 연접의 붕괴 및 F 액틴의 중합이 해체됨으로써 (depolymerization) 쉴렘관 세포의 투과성 역시 증가하였다<ref>Kameda T et al. The effect of ROCK inhibitor on monkey SC endothelial cells. '''IOVS''. 2012 May 22;53(6):3092-103. [https://pubmed.ncbi.nlm.nih.gov/22491412/ 연결]</ref>. Rho-kinase inhibitor는 또한 중추 신경계에서 축삭의 재생 및 신경 돌기의 성장을 촉진하므로, 녹내장에서 신경보호작용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녹내장 수술 후 과도한 창상 치유 반응은 결막의 섬유화를 유발하여 수술 실패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테논낭 섬유모세포에 Rho-kinase inhibitor를 처치하였을 때, TGF-β에 의해 증가된 세포 수축 및 근섬유모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었다. 따라서 Rho-kinase inhibitor는 안압 하강 효과 외에 시신경 보호 작용 및 녹내장 수술 후 성적 향상 등 부가적인 효과까지 기대되고 있다.  
쉴렘관 세포의 투과성 역시 증가하였다<ref>Kameda T et al. The effect of ROCK inhibitor on monkey SC endothelial cells. '''IOVS''. 2012 May 22;53(6):3092-103. [https://pubmed.ncbi.nlm.nih.gov/22491412/ 연결]</ref>. Rho-kinase inhibitor는 또한 중추 신경계에서 축삭의 재생 및 신경 돌기의 성장을 촉진하므로, 녹내장에서 신경보호작용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녹내장 수술 후 과도한 창상 치유 반응은 결막의 섬유화를 유발하여 수술 실패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테논낭 섬유모세포에 Rho-kinase inhibitor를 처치하였을 때, TGF-β에 의해 증가된 세포 수축 및 근섬유모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었다. 따라서 Rho-kinase inhibitor는 안압 하강 효과 외에 시신경 보호 작용 및 녹내장 수술 후 성적 향상 등 부가적인 효과까지 기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Rho-kinase inhibitor는 Rho-associated protein kinase (ROCK)1 및 ROCK2 모두를 억제하는데, 인간 섬유주세포는 ROCK1 및 ROCK2를 모두 발현하는
대부분의 Rho-kinase inhibitor는 Rho-associated protein kinase (ROCK)1 및 ROCK2 모두를 억제하는데, 인간 섬유주세포는 ROCK1 및 ROCK2를 모두 발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