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타노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6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월 30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30번째 줄:
|||TXA2||TP||||
|||TXA2||TP||||
|}
|}
안구 조직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FP, EP1-4 수용체만 나타난다. 이 수용체들은 대부분 섬모체와 공막에 있는 포도막-공막 조직에 위치해있다. 이런 조직에서 FP 수용체는 가장 많고, 특히 섬모체근의 원형 부분에 국한되어 있다<ref>Schlötzer-Schrehardt U et al.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FP and EP prostanoid receptor subtypes in human ocular tissues. ''IOVS''. 2002 May;43(5):1475-87. [https://pubmed.ncbi.nlm.nih.gov/11980863/ 연결]</ref>. 또한 FP, EP1-4 수용체들은 [[섬유주]]와 [[쉴렘관]]에서도 발견된다.
안구 조직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FP, EP1-4 수용체만 나타난다. 이 수용체들은 대부분 섬모체와 공막에 있는 포도막-공막 조직에 위치해있다. 이런 조직에서 FP 수용체는 가장 많고, 특히 섬모체근의 원형 부분에 국한되어 있다<ref>Schlötzer-Schrehardt U et al.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FP and EP prostanoid receptor subtypes in human ocular tissues. ''IOVS''. 2002 May;43(5):1475-87. [https://pubmed.ncbi.nlm.nih.gov/11980863/ 연결]</ref>. 또한 FP, EP1-4 수용체들은 [[섬유주]]와 [[쉴렘관]]에서도 발견된다<ref>Anthony TL et al. PG F2α receptors in the human TM. ''IOVS''. 1998 Feb;39(2):315-21. [https://pubmed.ncbi.nlm.nih.gov/9477988/ 연결]</ref>.
 
섬유주에서 EP2 수용체가 가장 많고, 이어서, FP > EP1 > EP4 > EP3  순이다. EP1 수용체 염색은 섬유주 세포와 쉴렘관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반면, EP2 수용체는 주로 쉴렘관의 벽과 주변부에 국한된다. EP3, EP4 수용체는 전체 섬유주에 걸쳐 존재한다. FP 수용체 단백질 발현은 섬유주 바깥 부분과 쉴렘관 내피세포, 수집 채널 및 방수 정맥에서 발견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