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micropulse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mTSCPC)''' 은 [[Cyclo G6]]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오드 레이저 에너지로 반복적인 미세 펄스를 이용하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다. 지속적인 다이오드 레이저 광선을 반복적인 활성 펄스 (On) 와 사이에 위치한 휴식 주기 (Off) 로 분할하여 열 상승을 조절한다. |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micropulse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mTSCPC)''' 은 [[Cyclo G6]]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오드 레이저 에너지로 반복적인 미세 펄스를 이용하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다. 지속적인 다이오드 레이저 광선을 반복적인 활성 펄스 (On) 와 사이에 위치한 휴식 주기 (Off) 로 분할하여 열 상승을 조절한다<ref>Sanchez FG et al. Update on mTSCPC. ''J Glaucoma''. 2020 Jul;29(7):598-603. [https://pubmed.ncbi.nlm.nih.gov/32398591/ 연결]</ref>. | ||
== 기전 == | == 기전 == | ||
=== 역치하 세포 손상 : 방수 생성 억제 === | === 역치하 세포 손상 : 방수 생성 억제 === | ||
임상 및 실험 연구는 mTSCPC 가 색소, 비색소 상피에 역치하 세포 손상을 일으킨다고 하며, 이것은 방수의 생산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off 시간은 색소 상피에 인접한 조직에 열 에어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아서, 응고 온도를 피하고 부수적인 손상을 줄인다. Maslin | 임상 및 실험 연구는 mTSCPC 가 색소, 비색소 상피에 역치하 세포 손상을 일으킨다고 하며, 이것은 방수의 생산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off 시간은 색소 상피에 인접한 조직에 열 에어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아서, 응고 온도를 피하고 부수적인 손상을 줄인다. Maslin 등<ref>Maslin J et al. Comparison of acut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human cadaver eyes after mTSCPC and CW-TSCPC. Poster presented at: The 26th Annual AGS Meeting; March 3, 2016; Ft. Lauderdale, FL.</ref>은 CW-TSCPC와 비교했을 때 섬모체에 응고 손상이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 ||
=== 포도막-공막 유출 증가 === | === 포도막-공막 유출 증가 === | ||
Barac 등은 녹내장 22안에서 mTSCPC 치료를 하였고, OCT를 이용하여 맥락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mTSCPC 치료를 성공적으로 받은 환자들은 치료 후 6개월째에 맥락막 두께가 16 ㎛ (369→385)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들은 맥락막 두께에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발견 이후, 저자들은 맥락막 두께의 변화가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 Barac 등은 녹내장 22안에서 mTSCPC 치료를 하였고, OCT를 이용하여 맥락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mTSCPC 치료를 성공적으로 받은 환자들은 치료 후 6개월째에 맥락막 두께가 16 ㎛ (369→385)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들은 맥락막 두께에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발견 이후, 저자들은 맥락막 두께의 변화가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