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구 불편감을 호소하는 170명 중 약 54%에서 Demodex가 발견되었다. |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구 불편감을 호소하는 170명 중 약 54%에서 Demodex가 발견되었다. | ||
== 병인 == | == 병인 == | ||
해부학적으로 전부와 후부로 분류되는데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후부 눈꺼풀염은 주로 Demodex brevis 에 의해 마이봄샘 감염을 포함하여 진행된다<ref>English FP et al. Demodicosis of ophthalmic concern. ''AJO''. 1981 Mar;91(3):362-72. [https://pubmed.ncbi.nlm.nih.gov/7211994/ 연결]</ref>. Demodex brevis는 기계적으로 마이봄샘의 입구를 막는데, 이는 마이봄샘의 충만, 부종, 비대화, 과각질화를 유발한다<ref>Lacey N et al. Under the lash : Demodex mites in human diseases. ''Biochem (Lond)''. 2009 Aug 1;31(4):2-6. [https://pubmed.ncbi.nlm.nih.gov/20664811/ 연결]</ref>. 게다가 모낭충은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콜레라간균 및 바이러스와 곰팡이를 보균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의한 감염 혹은 이들 미생물의 항원에 의한 염증반응이 마이봄샘에서 일어날 수 있다<ref>Kim JH et al. Clinical and immunological responses in ocular demodecosis. ''J Korean Med Sci''. 2011 Sep;26(9):1231-7. [https://pubmed.ncbi.nlm.nih.gov/21935281/ 연결]</ref>. 또한 모낭충의 키틴 외골격은 외부 이물로서 작용하여 마이봄샘 내부에서 육아종성 반응을 일으켜 다래끼로 발전되는 경우도 흔하다<ref>Huang Y et al. Ocular demodicosis as a RF of pterygium recurrence. ''Ophthalmology''. 2013 Jul;120(7):1341-7. [https://pubmed.ncbi.nlm.nih.gov/23664471/ 연결]</ref>. 위와 같은 원리들로 모낭충에 의해 마이봄샘에 만성적이고, 전반적인 이상이 발생하면 마이봄샘 개구부의 폐쇄와 분비물의 질적, 양적 변화가 동반되어 최종적으로 [[마이봄샘 기능 | 해부학적으로 전부와 후부로 분류되는데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후부 눈꺼풀염은 주로 Demodex brevis 에 의해 마이봄샘 감염을 포함하여 진행된다<ref>English FP et al. Demodicosis of ophthalmic concern. ''AJO''. 1981 Mar;91(3):362-72. [https://pubmed.ncbi.nlm.nih.gov/7211994/ 연결]</ref>. Demodex brevis는 기계적으로 마이봄샘의 입구를 막는데, 이는 마이봄샘의 충만, 부종, 비대화, 과각질화를 유발한다<ref>Lacey N et al. Under the lash : Demodex mites in human diseases. ''Biochem (Lond)''. 2009 Aug 1;31(4):2-6. [https://pubmed.ncbi.nlm.nih.gov/20664811/ 연결]</ref>. 게다가 모낭충은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콜레라간균 및 바이러스와 곰팡이를 보균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의한 감염 혹은 이들 미생물의 항원에 의한 염증반응이 마이봄샘에서 일어날 수 있다<ref>Kim JH et al. Clinical and immunological responses in ocular demodecosis. ''J Korean Med Sci''. 2011 Sep;26(9):1231-7. [https://pubmed.ncbi.nlm.nih.gov/21935281/ 연결]</ref>. 또한 모낭충의 키틴 외골격은 외부 이물로서 작용하여 마이봄샘 내부에서 육아종성 반응을 일으켜 다래끼로 발전되는 경우도 흔하다<ref>Huang Y et al. Ocular demodicosis as a RF of pterygium recurrence. ''Ophthalmology''. 2013 Jul;120(7):1341-7. [https://pubmed.ncbi.nlm.nih.gov/23664471/ 연결]</ref>. 위와 같은 원리들로 모낭충에 의해 마이봄샘에 만성적이고, 전반적인 이상이 발생하면 마이봄샘 개구부의 폐쇄와 분비물의 질적, 양적 변화가 동반되어 최종적으로 [[마이봄샘 기능 장애]]이 유발된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연령과 안구 불편감이 증가할수록, BUT 감소와 결막 유두 비대가 심할수록 많이 발견되었으며, 성별 및 쉬르머 검사와는 관련이 없었다. | 연령과 안구 불편감이 증가할수록, BUT 감소와 결막 유두 비대가 심할수록 많이 발견되었으며, 성별 및 쉬르머 검사와는 관련이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