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인)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속눈썹의 각막 접촉 면적과 강도는 아래를 볼 때 더욱 뚜렷해지고 심해지며 윗눈꺼풀에서는 위를 볼 때 심해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안쪽 눈썹 찔림의 경우 전체 눈썹 찔림의 58.6%에 해당되며 특히 재발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속눈썹의 각막 접촉 면적과 강도는 아래를 볼 때 더욱 뚜렷해지고 심해지며 윗눈꺼풀에서는 위를 볼 때 심해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안쪽 눈썹 찔림의 경우 전체 눈썹 찔림의 58.6%에 해당되며 특히 재발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 ||
== 원인 == | == 원인 == | ||
눈꺼풀 견인기가 부적절하게 발달해서 피부에 부착되지 않거나 눈꺼풀판 앞 눈둘레근이 안검연에 너무 가까이 위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과도한 피부주름이나 눈둘레근이 속눈썹을 눈쪽으로 밀어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ref>Quickert MH et al. Nonincisional correction of epiblepharon and congenital entropion. ''Arch Ophthalmol''. 1983 May;101(5):778-81. [https://pubmed.ncbi.nlm.nih.gov/6342582/ 연결]</ref>. | |||
== 증상 == | == 증상 == | ||
눈을 자주 비빈다거나 밝은 빛 아래에서 심한 눈부심으로 눈을 잘 뜨지 못하거나, 눈물 고임, 눈곱 등의 증상을 호소하지만, 환아나 부모가 아무런 이상 증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지내다가 시력 검사를 위하여 방문한 안과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다. | 눈을 자주 비빈다거나 밝은 빛 아래에서 심한 눈부심으로 눈을 잘 뜨지 못하거나, 눈물 고임, 눈곱 등의 증상을 호소하지만, 환아나 부모가 아무런 이상 증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지내다가 시력 검사를 위하여 방문한 안과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