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간헐 내사시 (intermittent esotropia)'''는 간헐적으로 융합눈벌림이 깨질 때 내사시가 나타나는 질환<ref name=" | '''간헐 내사시 (intermittent esotropia)'''는 간헐적으로 융합눈벌림이 깨질 때 내사시가 나타나는 질환<ref name="r1">von Noorden GK et al.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 theory and management of strabismus, 6th ed. St Louis:Mosby, 2002;311-4.</ref>으로, 특징적으로 피곤하거나 각성이 저하될 때 자연적으로 간헐적인 현성사시가 발현되며<ref name="r2">Reinecke RD. Management of intermittent esotropia. South Med J. 1976 Dec;69(12):1588-90. doi: 10.1097/00007611-197612000-00029. PMID: 828301.</ref>, 융합으로 조절이 잘되는 상태에서는 편위가 나타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 ||
== 역학 == | == 역학 == | ||
유아 내사시 환자들 중 약 11~47% 에서 간헐 내사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4-6 성인에서의 발생률이나 유병률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다. | 유아 내사시 환자들 중 약 11~47% 에서 간헐 내사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4-6 성인에서의 발생률이나 유병률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다. | ||
== 증상 == | == 증상 == | ||
어린 나이에 발생하면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주로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 후 눈피로나 흐려짐을 호소하고<ref name=" | 어린 나이에 발생하면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주로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 후 눈피로나 흐려짐을 호소하고<ref name="r1" /><ref name="r2" />, 융합이 완성된 8, 9세 이후 현성내사시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간헐적인 복시를 느끼게 된다<ref>Molarte AB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treatment of intermittent E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1 May-Jun;28(3):137-41; discussion 142. [https://pubmed.ncbi.nlm.nih.gov/1890570/ 연결]</ref>. 환자들은 주로 원거리에서 간헐적인 양안 복시를 호소하며, 내편위를 주소로 내원한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