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60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1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
== 위험 인자 ==
=== 유전적 요인 ===
부모가 근시인 어린이의 경우 정시인 부모를 가진 어린이보다 근시가 될 확률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환경적 요인 ===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부모 또는 본인의 교육 수준이 높은 경우, 소득이 높은 경우 등에서 근시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다.
=== 생물학적 요인 ===
조절과 폭주에 따른 안축장의 증가와 조절 기전, 조절 시 안압 증가에 따른 공막의 확장 등 안구와 관련한 요인도 관여한다.
== 소아, 청소년기의 진행 양상 ==
== 소아, 청소년기의 진행 양상 ==
한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4, 5기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ref>정승일 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JKOS, 2016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57-09-13.pdf 연결]</ref>
한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4, 5기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ref>정승일 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JKOS, 2016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57-09-13.pdf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