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맥린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40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2일 (토)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수포 각막병증]]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중심부 각막은 내피세포 수는 감소하지만 장기간 관찰해도 투명도는 유지된다.
[[수포 각막병증]]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중심부 각막은 내피세포 수는 감소하지만 장기간 관찰해도 투명도는 유지된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주로 증상이 있을 경우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해외의 증례에서는 주로 고장성 식염수나 국소 스테로이드 안약에 반응을 보였고<ref>Jamil AZ et al. Brown-McLean syndrome with KC. ''J Coll Physicians Surg Pak''. 2012 Mar;22(3):179-81. [https://pubmed.ncbi.nlm.nih.gov/22414362/ 연결]</ref>,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도 통증이나 이물감 등 일부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