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2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aqueous misdirection syndrome)'''{{백내장}} 은 홍채 절개창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얕거나 소실된 전방 소견을 보이며 상...)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aqueous misdirection syndrome)'''{{백내장}} 은 홍채 절개창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얕거나 소실된 전방 소견을 보이며 상맥락막 출혈 및 삼출 없이 안압 상승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1869년 Graefe에 의해 처음 개념이 도입되었다. 발생 기전 가설에 따라 모양체-수정체 폐쇄 (ciliolenticular block), 수정체낭 폐쇄 (capsular block), [[악성 녹내장]] (maligmant glaucoma) 과 같이 다양한 명칭이 있으며, 공통적으로 방수의 정상적인 유출 경로의 문제로 인해 액체의 유리체 방향으로의 역류가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aqueous misdirection syndrome)'''{{백내장}} 은 홍채 절개창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얕거나 소실된 전방 소견을 보이며 상맥락막 출혈 및 삼출 없이 안압 상승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1869년 Graefe<ref>Graefe A. Contributions to the pathology and therapy of glaucoma.
''Arch Ophthalmol'' 1869;15:108.</ref>에 의해 처음 개념이 도입되었다. 발생 기전 가설에 따라 모양체-수정체 폐쇄 (ciliolenticular block), 수정체낭 폐쇄 (capsular block), [[악성 녹내장]] (maligmant glaucoma) 과 같이 다양한 명칭이 있다.
== 병인 ==
공통적으로 방수의 정상적인 유출 경로의 문제로 인해 액체의 유리체 방향으로의 역류가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