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메막 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4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3일 (일)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C<sub>3</sub>F<sub>8</sub>이나 SF<sub>6</sub>의 경우 공기에 비해 각막 내피에 대한 독성이 더 적으며, 전방 내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한 14% C<sub>3</sub>F<sub>8</sub> 가스의 경우 팽창하는 작용이 적기 때문에 안압 상승의 부작용이 적어 안전한 편에 속한다<ref>Shah M et al. Repair of late DMD with perfluoropropane gas. ''JCRS''. 2003 Jun;29(6):1242-4. [https://pubmed.ncbi.nlm.nih.gov/12842700/ 연결]</ref>.
C<sub>3</sub>F<sub>8</sub>이나 SF<sub>6</sub>의 경우 공기에 비해 각막 내피에 대한 독성이 더 적으며, 전방 내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한 14% C<sub>3</sub>F<sub>8</sub> 가스의 경우 팽창하는 작용이 적기 때문에 안압 상승의 부작용이 적어 안전한 편에 속한다<ref>Shah M et al. Repair of late DMD with perfluoropropane gas. ''JCRS''. 2003 Jun;29(6):1242-4. [https://pubmed.ncbi.nlm.nih.gov/12842700/ 연결]</ref>.
=== 각막 봉합 ===
=== 각막 봉합 ===
박리가 중심부 각막을 침범하거나 주변부 각막의 50% 이상의 박리가 있을 때, 그리고 반복되는 박리에서 데스메막 고정 봉합술이 추천된다. Amaral 과 Palay<ref>Amaral CE et al. Technique for repair of DMD. ''AJO''. 1999 Jan;127(1):88-90. [https://pubmed.ncbi.nlm.nih.gov/9933007/ 연결]</ref>가 박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박리의 병변이 큰 경우에 시행하여 재유착에 성공했는데, 10-0 폴리프로필렌 봉합사를 이용하여 박리가 발생한 병변 맞은편에서 전방천자를 시행하고 전방천자 부위에서 전방을 가로질러 병변 부위로 진입하여 각막 안쪽에서 바깥으로 봉합하는 매트리스 형태의 각막 봉합술이다.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실에서 시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에 임상적으로 병변이 작거나 주변부에 국한된 박리인 경우에는 다소 사용
박리가 중심부 각막을 침범하거나 주변부 각막의 50% 이상의 박리가 있을 때, 그리고 반복되는 박리에서 데스메막 고정 봉합술이 추천된다<ref>Bhatia HK et al. Delayed-onset DMD after uneventful cataract surgery treated by corneal venting incision with air tamponade : a case report. ''BMC Ophthalmol''. 2016 Apr 4;16:35. [https://pubmed.ncbi.nlm.nih.gov/27044281/ 연결]</ref>. Amaral 과 Palay<ref>Amaral CE et al. Technique for repair of DMD. ''AJO''. 1999 Jan;127(1):88-90. [https://pubmed.ncbi.nlm.nih.gov/9933007/ 연결]</ref>가 박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박리의 병변이 큰 경우에 시행하여 재유착에 성공했는데, 10-0 폴리프로필렌 봉합사를 이용하여 박리가 발생한 병변 맞은편에서 전방천자를 시행하고 전방천자 부위에서 전방을 가로질러 병변 부위로 진입하여 각막 안쪽에서 바깥으로 봉합하는 매트리스 형태의 각막 봉합술이다.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실에서 시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에 임상적으로 병변이 작거나 주변부에 국한된 박리인 경우에는 다소 사용
이 제한적이다.
이 제한적이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