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3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SJS)''' 은 독성 표피 괴사 융해증 (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이라고도 부르며 이상 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및 점막의 광범위한 괴사, 표피 탈락을 특징으로 한다<ref>Kohanim S et al. SJS/TEN : A Comprehensive Review and Guide to Therapy. I. Systemic Disease. ''Ocul Surf''. 2016 Jan;14(1):2-19. [https://pubmed.ncbi.nlm.nih.gov/26549248/ 연결]</ref>.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SJS)'''{{각막}} 은 독성 표피 괴사 융해증 (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이라고도 부르며 이상 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및 점막의 광범위한 괴사, 표피 탈락을 특징으로 한다<ref>Kohanim S et al. SJS/TEN : A Comprehensive Review and Guide to Therapy. I. Systemic Disease. ''Ocul Surf''. 2016 Jan;14(1):2-19. [https://pubmed.ncbi.nlm.nih.gov/26549248/ 연결]</ref>.
== 역학 ==
== 역학 ==
매년 백만명 당 0.4~7명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ref>Strom BL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f SJS. Incidence and antecedent drug exposures. ''Arch Dermatol''. 1991 Jun;127(6):831-8. [https://pubmed.ncbi.nlm.nih.gov/2036028/ 연결]</ref>.
매년 백만명 당 0.4~7명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ref>Strom BL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f SJS. Incidence and antecedent drug exposures. ''Arch Dermatol''. 1991 Jun;127(6):831-8. [https://pubmed.ncbi.nlm.nih.gov/2036028/ 연결]</ref>.
12번째 줄: 12번째 줄: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참고|각막}}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