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원인)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만성기 : 눈꺼풀 속말림, 겉말림, 속눈썹증과 마이봄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결막 구석의 단축, 결막 붙음증을 포함한 결막의 반흔화가 발생한다. 결막의 반흔화는 술잔세포, 눈물샘 및 눈물관의 손상을 일으켜 건성안으로 인한 결막의 각질화가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윤부 줄기세포가 급성기동안 손상을 받는데, 만성기의 심한 눈물막 이상은 지속적인 추가 손상을 일으킨다. 결막의 건조 및 각질화는 윤부 줄기세포의 생존을 위협하며, 지속 상피 결손과 각막의 결막화를 유발할 수 있다. | * 만성기 : 눈꺼풀 속말림, 겉말림, 속눈썹증과 마이봄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결막 구석의 단축, 결막 붙음증을 포함한 결막의 반흔화가 발생한다. 결막의 반흔화는 술잔세포, 눈물샘 및 눈물관의 손상을 일으켜 건성안으로 인한 결막의 각질화가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윤부 줄기세포가 급성기동안 손상을 받는데, 만성기의 심한 눈물막 이상은 지속적인 추가 손상을 일으킨다. 결막의 건조 및 각질화는 윤부 줄기세포의 생존을 위협하며, 지속 상피 결손과 각막의 결막화를 유발할 수 있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정해야 한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