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 (→원인)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약물 === | === 약물 === | ||
대개 전신 약물에 대한 특이 체질성 (idiosyncratic) 반응으로 발생하며, 원인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NSAID, 아세트아미노펜, 설폰아마이드 및 β락탐계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퀴놀론, 방향족 (aromatic) 항경련제, 알로퓨리놀, 라모트리진 등이 있다<ref>Roujeau JC et al. Severe adverse cutaneous reactions to drugs. ''NEJM''. 1994 Nov 10;331(19):1272-85. [https://pubmed.ncbi.nlm.nih.gov/7794310/ 연결]</ref>. 약물 복용 관련한 정확한 SJS의 원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병태생리에 있어 HLA 대립 유전자형과 감수성이 있는 약물 종류와의 특정 조합들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다<ref>Ueta M. Genetic Predisposition to SJS with Severe Ocular Surface Complications. ''Cornea''. 2015 Nov;34 Suppl 11:S158-65. [https://pubmed.ncbi.nlm.nih.gov/26448174/ 연결]</ref>. | 대개 전신 약물에 대한 특이 체질성 (idiosyncratic) 반응으로 발생하며, 원인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NSAID, 아세트아미노펜, 설폰아마이드 및 β락탐계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퀴놀론, 방향족 (aromatic) 항경련제, 알로퓨리놀, 라모트리진 등이 있다<ref>Roujeau JC et al. Severe adverse cutaneous reactions to drugs. ''NEJM''. 1994 Nov 10;331(19):1272-85. [https://pubmed.ncbi.nlm.nih.gov/7794310/ 연결]</ref>. 약물 복용 관련한 정확한 SJS의 원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병태생리에 있어 HLA 대립 유전자형과 감수성이 있는 약물 종류와의 특정 조합들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다<ref>Ueta M. Genetic Predisposition to SJS with Severe Ocular Surface Complications. ''Cornea''. 2015 Nov;34 Suppl 11:S158-65. [https://pubmed.ncbi.nlm.nih.gov/26448174/ 연결]</ref>. | ||
=== 비약물 === | |||
백신, 화학 물질 및 흄,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 에이즈, 허브 물질, 광선 노출 및 방사선치료 등과의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었다. | |||
== 분류 == | ==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