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2월 13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원추 각막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원추각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원추 각막 (keratoconus)'''{{각막}} 은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하여 원뿔 모양이 상태를 가리키는 임상적 명칭이다. 그 과정은 비염증성이며, 세포 침윤과 신생혈관은 발생하지 않는다. 주로 양측성으로 중심부 2/3 정도를 침범하지만, 원추의 정점은 시축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원추각막 (keratoconus)'''{{각막}} 은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하여 원뿔 모양이 상태를 가리키는 임상적 명칭이다. 그 과정은 비염증성이며, 세포 침윤과 신생혈관은 발생하지 않는다. 주로 양측성으로 중심부 2/3 정도를 침범하지만, 원추의 정점은 시축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 역학 ==
== 역학 ==
발생 빈도는 보고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대개 100,000명당 50~230명이고, 종족이나 성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pan style='color:blue;'>대부분 양측성</span>이며, 편측성처럼 보이더라도 각막 지형도 등 최신 방법으로 검사해보면 다른 눈에도 아주 초기의 원추 각막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편측성의 빈도는 2~4%로 추정된다.<br />대개 <span style='color:blue;'>사춘기부터 시작</span>되며,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되기 시작하면서 부정 난시를 유발하게 된다. <span style='color:blue;'>진행은 10년에서 20년에 걸쳐 계속된 후 서서히 멈춘다</span>. 옅고 넓은 플라이셔 고리는 얇고 분명한 고리로 바뀌고 진행의 속도는 다양하다. 진행의 멈추었을 때의 병의 정도는 경증의 부정 난시에서 각막 이식술이 필요한 각막 반흔까지 매우 다양하다.
발생 빈도는 보고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대개 100,000명당 50~230명이고, 종족이나 성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pan style='color:blue;'>대부분 양측성</span>이며, 편측성처럼 보이더라도 각막 지형도 등 최신 방법으로 검사해보면 다른 눈에도 아주 초기의 원추 각막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편측성의 빈도는 2~4%로 추정된다.<br />대개 <span style='color:blue;'>사춘기부터 시작</span>되며,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되기 시작하면서 부정 난시를 유발하게 된다. <span style='color:blue;'>진행은 10년에서 20년에 걸쳐 계속된 후 서서히 멈춘다</span>. 옅고 넓은 플라이셔 고리는 얇고 분명한 고리로 바뀌고 진행의 속도는 다양하다. 진행의 멈추었을 때의 병의 정도는 경증의 부정 난시에서 각막 이식술이 필요한 각막 반흔까지 매우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