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13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3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CXL)'''{{각막}} 은 각막 기질을 단단하게 만들어 원추 각막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중심 각막상피를 벗긴 후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으로 기질에 포화시키고 370nm 파장의 자외선을 30분간 쬐도록 하면 아교질원섬유의 아미노기를 이어주는 공유 결합이 만들어진다.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CXL)'''{{각막}} 은 각막 기질을 단단하게 만들어 원추 각막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중심 각막상피를 벗긴 후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으로 기질에 포화시키고 370nm 파장의 자외선을 30분간 쬐도록 하면 아교질원섬유의 아미노기를 이어주는 공유 결합이 만들어진다.
== 원리 ==
원추각막에서 생체역학적으로 약화된 구조는 상대적인 공유결합의 결핍이 콜라겐 분자들 사이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광화학적으로 각막내의 콜라겐 분자 사이의 네트워크를 비타민B2 (리보플라빈) 와 긴 파장의 자외선A (370 nm) 를 이용하여 교차 결합되게 유발시켜서 원추각막의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과거에 콜라겐 교차결합술을 이용한 실험이 토끼의 각막 조직과 인간의 각막 조직에서 이루어졌으며, 결과적으로 각막 조직에서 생화학적, 생체역학
적 변화가 확인되어, 콜라겐 교차결합술을 원추각막에 치료적으로 이용할 경우, 질병의 경과를 변경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다고 제안되었다<ref>Spoerl E et al. Induction of cross-links in corneal tissue. ''Exp Eye Res''. 1998 Jan;66(1):97-103. [https://pubmed.ncbi.nlm.nih.gov/9533835/ 연결]</ref><ref>Spoerl E et al. Increased resistance of crosslinked cornea against enzymatic digestion. ''Curr Eye Res''. 2004 Jul;29(1):35-40. [https://pubmed.ncbi.nlm.nih.gov/15370365/ 연결]</ref>.
== 효과 ==
== 효과 ==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 단점 ==
임상적으로 치료에 요구되는 자외선A의 조사 시간과 자외선 노출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리보플라빈이 각막의 기질층에 균등하게 흡수되는 데 필요한 점안 시간 등으로 인해, 치료 전체 소요시간이 1시간을 넘기는 단점이 있었다. 6,8 이후 전통적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에서 동반될 수 있는 감염성 각막염과 기질층의 흐릿해지는 증상 등을 막고, 수술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9 새롭게 소개된 가속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은 보
다 더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수치의 복사 조도로 자외선A를 조사함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Rocha KM et al. Comparative study of riboflavin-UVA cross-linking and "flash-linking" using surface wave elastometry. ''JRS''. 2008 Sep;24(7):S748-51. [https://pubmed.ncbi.nlm.nih.gov/18811123/ 연결]</ref>.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