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단점)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 ||
== 단점 == | == 단점 == | ||
임상적으로 치료에 요구되는 자외선A의 조사 시간과 자외선 노출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리보플라빈이 각막의 기질층에 균등하게 흡수되는 데 필요한 점안 시간 등으로 인해, 치료 전체 소요시간이 1시간을 넘기는 단점이 있었다. 6,8 이후 전통적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에서 동반될 수 있는 감염성 각막염과 기질층의 흐릿해지는 증상 등을 막고, 수술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 임상적으로 치료에 요구되는 자외선A의 조사 시간과 자외선 노출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리보플라빈이 각막의 기질층에 균등하게 흡수되는 데 필요한 점안 시간 등으로 인해, 치료 전체 소요시간이 1시간을 넘기는 단점이 있었다. 6,8 이후 전통적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에서 동반될 수 있는 감염성 각막염과 기질층의 흐릿해지는 증상 등을 막고, 수술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기법들이 소개되었다<ref>Koller T et al. Complication and failure rates after CXL. ''JCRS''. 2009 Aug;35(8):1358-62. [https://pubmed.ncbi.nlm.nih.gov/19631120/ 연결]</ref>. 새롭게 소개된 가속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은 보 | ||
다 더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수치의 복사 조도로 자외선A를 조사함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Rocha KM et al. Comparative study of riboflavin-UVA cross-linking and "flash-linking" using surface wave elastometry. ''JRS''. 2008 Sep;24(7):S748-51. [https://pubmed.ncbi.nlm.nih.gov/18811123/ 연결]</ref>. | 다 더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수치의 복사 조도로 자외선A를 조사함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Rocha KM et al. Comparative study of riboflavin-UVA cross-linking and "flash-linking" using surface wave elastometry. ''JRS''. 2008 Sep;24(7):S748-51. [https://pubmed.ncbi.nlm.nih.gov/18811123/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