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스병: 두 판 사이의 차이

93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잔글 (→‎원인)
9번째 줄: 9번째 줄:


== 원인 ==
== 원인 ==
과거 많은 연구에서 결핵과의 연관성을 강조해 왔으나 tuberculin 단백에 대한 양성 반응이 정상보다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 외에는 결핵균에 의한 눈이나 망막의 감염과 관련된 변화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직접 감염보다는 <span style='color:blue;'>tuberculin 단백에 대한 면역 매개 과민반응</span>으로 믿고 있다. Rennie 등은 일스병 환자 32명 중 48%에서 결핵을 앓았거나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일스병 환자의 유리체와 망막앞막에서 결핵균 검출이 유의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일스병 환자의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검사에서는 α-globulin 증가와 알부민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α-1 acid glycoprotein 등 몇몇의 독특한 단백질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부 인자에 대한 변화된 면역 반응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HLA DR3, A1, B8, B5(51)은 정상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일스병 환자에서 나타난다. 또한 HLA DQ2, DR52, 그리고 Bw6도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과거 많은 연구에서 결핵과의 연관성을 강조해 왔으나 tuberculin 단백에 대한 양성 반응이 정상보다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 외에는 결핵균에 의한 눈이나 망막의 감염과 관련된 변화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직접 감염보다는 <span style='color:blue;'>tuberculin 단백에 대한 면역 매개 과민반응</span>으로 믿고 있다. Reine 등<ref>Renie WA et al.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Eales' disease. ''Retina''. 1983 Fall-Winter;3(4):243-8. [https://pubmed.ncbi.nlm.nih.gov/6675099/ 연결]</ref>은 일스병 환자 32명 중 48%에서 결핵을 앓았거나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일스병 환자의 유리체와 망막앞막에서 결핵균 검출이 유의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ref>Madhavan HN et al. PCR for detection of M.tuberculosis in ERM in Eales' disease. ''IOVS''. 2000 Mar;41(3):822-5. [https://pubmed.ncbi.nlm.nih.gov/10711699/ 연결]</ref>. 일스병 환자의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에서는 α-globulin 증가와 알부민 감소가 보고되었으며<ref>Rengarajan K et al. Biochemical analysis of serum proteins from Eales' patients. ''Curr Eye Res''. 1989 Dec;8(12):1259-69. [https://pubmed.ncbi.nlm.nih.gov/2627796/ 연결]</ref>, α-1 acid glycoprotein 등 몇몇의 독특한 단백질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부 인자에 대한 변화된 면역 반응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f>Sen DK et al. Serum α-1 acid glycoprotein level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eripheral retinal vasculitis (Eales' disease). ''Acta Ophthalmol (Copenh)''. 1992 Aug;70(4):515-7. [https://pubmed.ncbi.nlm.nih.gov/1414297/ 연결]</ref>. HLA DR3, A1, B8, B5(51)은 정상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일스병 환자에서 나타난다. 또한 HLA DQ2, DR52, 그리고 Bw6도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ref>Ishaq M et al. HLA typing in patients of Eales disease. ''J Coll Physicians Surg Pak''. 2005 May;15(5):288-90. [https://pubmed.ncbi.nlm.nih.gov/15907240/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일부는 동시에 전정기관 장애를 호소하는데 Rennie 등은 35명의 일스병 환자 중 24%에서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고, 50%에서 청각과 전정 기관의 장애를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다발성 경화증, 소뇌운동실조, 척수증, 편마비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도 보고되어 있으며 면역학적 질환의 증가된 유병률도 보고되었던 것을 고려하면 여러 병리학적 이상이 눈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부는 동시에 전정기관 장애를 호소하는데 Rennie 등은 35명의 일스병 환자 중 24%에서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고, 50%에서 청각과 전정 기관의 장애를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다발성 경화증, 소뇌운동실조, 척수증, 편마비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도 보고되어 있으며 면역학적 질환의 증가된 유병률도 보고되었던 것을 고려하면 여러 병리학적 이상이 눈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