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스병: 두 판 사이의 차이

7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56번째 줄: 56번째 줄: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비활동성 혈관염 ===
=== 비활동성 혈관염 ===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경과 관찰만 해볼 수 있으며 유리체 출혈이 있는 경우라도 망막 박리의 징후만 없다면 4~6주 간격으로 경과 관찰해볼 수 있다.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경과 관찰만 해볼 수 있으며 유리체 출혈이 있는 경우라도 망막 박리의 징후만 없다면 4~6주 간격으로 경과 관찰해볼 수 있고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경우 대개 6~8주에 출혈은 감소된다.
 
=== 활동성 혈관염 ===
=== 활동성 혈관염 ===
* 스테로이드 : 주된 치료법이다. 용량은 염증의 정도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경구 prednisolone (1mg/kg) 을 6~8주에 걸쳐 증상에 따라 감량하면 된다. 만약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황반 부종이 있는 경우 안구주위 스테로이드 주사가 도움이 된다. 또한 최근에 급성 염증시기에 경구와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서 [[트리암시놀론]] 유리체강내 주사가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면역 억제제는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최근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주사 치료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 스테로이드 : 주된 치료법이다. 용량은 염증의 정도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경구 prednisolone (1mg/kg) 을 6~8주에 걸쳐 증상에 따라 감량하면 된다. 만약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황반 부종이 있는 경우 안구주위 스테로이드 주사가 도움이 된다. 또한 최근에 급성 염증시기에 경구와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서 [[트리암시놀론]] 유리체강내 주사가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면역 억제제는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최근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주사 치료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