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모양 맥락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료)
23번째 줄: 23번째 줄:
*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 : 황반부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급성기에는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나 면역 억제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재발이 매우 흔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 단독 또는 다른 면역억제제와의 병합 사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예방적인 면역 억제제의 사용이 재발을 낮춘다는 사실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 : 황반부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급성기에는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나 면역 억제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재발이 매우 흔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 단독 또는 다른 면역억제제와의 병합 사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예방적인 면역 억제제의 사용이 재발을 낮춘다는 사실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 유리체강내 스테로이드 주사 : 스테로이드나 전신 면역 억제제를 사용 못 하는 급성기 환자에서나 이차적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 억제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 유리체강내 스테로이드 주사 : 스테로이드나 전신 면역 억제제를 사용 못 하는 급성기 환자에서나 이차적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 억제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 유리체강내 anti-VEGF 주사 : 흔한 합병증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이 생긴 경우 도움이 된다<ref>Parodi MB et al.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CNV in SC. ''BJO''. 2014 Apr;98(4):519-22. [https://pubmed.ncbi.nlm.nih.gov/24414400/ 연결]</ref>.
* 유리체강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주사 : 흔한 합병증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이 생긴 경우 도움이 된다<ref>Parodi MB et al.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CNV in SC. ''BJO''. 2014 Apr;98(4):519-22. [https://pubmed.ncbi.nlm.nih.gov/24414400/ 연결]</ref>.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