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잔글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 ||
==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 ==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 ||
DR의 발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인자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액-망막 장벽을 손상시키고, 신생혈관의 형성을 자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혈관 형성인자로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 DR의 발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인자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액-망막 장벽을 손상시키고, 신생혈관의 형성을 자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혈관 형성인자로 | ||
*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 |||
*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
* 인슐린양 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 |||
*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 |||
등이 있다. 이들은 세포외 기질을 소화시키고, 혈관 내피의 이동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효소들의 생산과 분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 |||
=== VEGF === | === VEGF === | ||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NPDR 또는 PDR이 있는 눈의 유리체나 전방수에서 농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성공적인 망막 레이저치료 후에는 VEGF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DME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ti-VEGF 안구내 주입술은 DME 환자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 3년 이상의 장기적인 치료에서도 큰 부작용 없이 시력의 호전과 해부학적인 성공을 보였다<ref>Brown DM et al; RIDE and RISE Research Group. LT outcomes of ranibizumab therapy for DME : the 36m results from 2 P3 trials: RISE and RIDE. ''Ophthalmology''. 2013 Oct;120(10):2013-22. [https://pubmed.ncbi.nlm.nih.gov/23706949/ 연결]</ref>. |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NPDR 또는 PDR이 있는 눈의 유리체나 전방수에서 농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성공적인 망막 레이저치료 후에는 VEGF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DME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ti-VEGF 안구내 주입술은 DME 환자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 3년 이상의 장기적인 치료에서도 큰 부작용 없이 시력의 호전과 해부학적인 성공을 보였다<ref>Brown DM et al; RIDE and RISE Research Group. LT outcomes of ranibizumab therapy for DME : the 36m results from 2 P3 trials: RISE and RIDE. ''Ophthalmology''. 2013 Oct;120(10):2013-22. [https://pubmed.ncbi.nlm.nih.gov/23706949/ 연결]</ref>. | ||
=== IGF === | |||
과거 레이저 광응고가 도입되기 전 시상하부 절제술이 당뇨 망막병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VEGF에 비해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것은 다른 허혈 망막병증이나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FGFs === | |||
예전에 망막 신생혈관형 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이 되던 인자이다. | |||
* 산성 FGF (aFGF, FGF-1) | |||
* 염기성 FGF (bFGF, FGF-2) | |||
으로 나누는데, 망막과 섬모체, 망막 색소상피세포 등에 억제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저산소 환경이나 허혈이 발생하면 세포외액으로 분비됨으로써 신생혈관 형성을 촉진한다. 실제로 PDR의 유리체에서 bFGF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는데,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과 신생혈관의 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유전 인자 == | == 유전 인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