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발생 기전: 두 판 사이의 차이

843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잔글 (→‎VEGF)
14번째 줄: 14번째 줄:
* [[색소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 [[색소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등이 있다. 이들은 세포외 기질을 소화시키고, 혈관 내피의 이동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효소들의 생산과 분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등이 있다. 이들은 세포외 기질을 소화시키고, 혈관 내피의 이동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효소들의 생산과 분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 VEGF ===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NPDR 또는 PDR이 있는 눈의 유리체나 전방수에서 농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성공적인 망막 레이저치료 후에는 VEGF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DME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ti-VEGF 안구내 주입술은 DME 환자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 3년 이상의 장기적인 치료에서도 큰 부작용 없이 시력의 호전과 해부학적인 성공을 보였다<ref>Brown DM et al; RIDE and RISE Research Group. LT outcomes of ranibizumab therapy for DME : the 36m results from 2 P3 trials: RISE and RIDE. ''Ophthalmology''. 2013 Oct;120(10):2013-22. [https://pubmed.ncbi.nlm.nih.gov/23706949/ 연결]</ref>.
== 유전 인자 ==
== 유전 인자 ==
많은 연구자들이 유전 인자와 환경 인자가 DR의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DCCT]] 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치료군 (conventional treatment group) 에서 DR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의 친척에서 심한 DR있을 확률이 5배 정도 더 많았다. 또한, 고혈당이 오래 지속되면 초기 DR은 거의 모든 환자에서 발생을 하나, PDR의 경우는 50% 정도로 발생한다<ref>Clustering of LT complications in families with diabetes in the DCCT. The DCCT Research Group. Diabetes. 1997 Nov;46(11):1829-39. [https://pubmed.ncbi.nlm.nih.gov/9356033/ 연결]</ref>. 이는 고혈당의 정도와 기간 외에 다른 요소가 관여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으로 유전 인자도 하나의 인자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이전 연구들에서 HLA-DR 특정 유전형 (4/0, 3/0, X/X 또는 DR4+, DR3) O| PDR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아직 확실히 DR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전 위험 인자는 밝혀져 있지 않다.
많은 연구자들이 유전 인자와 환경 인자가 DR의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DCCT]] 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치료군 (conventional treatment group) 에서 DR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의 친척에서 심한 DR있을 확률이 5배 정도 더 많았다. 또한, 고혈당이 오래 지속되면 초기 DR은 거의 모든 환자에서 발생을 하나, PDR의 경우는 50% 정도로 발생한다<ref>Clustering of LT complications in families with diabetes in the DCCT. The DCCT Research Group. Diabetes. 1997 Nov;46(11):1829-39. [https://pubmed.ncbi.nlm.nih.gov/9356033/ 연결]</ref>. 이는 고혈당의 정도와 기간 외에 다른 요소가 관여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으로 유전 인자도 하나의 인자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이전 연구들에서 HLA-DR 특정 유전형 (4/0, 3/0, X/X 또는 DR4+, DR3) O| PDR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아직 확실히 DR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전 위험 인자는 밝혀져 있지 않다.
{{참고}}
{{참고}}
[[분류:망막]]
[[분류: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