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발생 기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0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 헥소자민 경로 ===
=== 헥소자민 경로 ===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앞에서 설명한 고혈당에 의한 세포손상의 4가지 기전을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 (electron transport chain, ETC) 이상으로 인한 과산화물 (superoxide)의 생산 증가라는 한가지 공통 기전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정상 환경에서4 포도당이 해당과정을 거쳐 TCA cycle 에 들어가면 전자들을 생성하며 이들은 미토콘 드리아의 ETC 내 여러 단백질을 거쳐 산소를 물로 환원시키게 된다. 이 전자들은 미토콘드리아막의 전위를 유지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혈당 상황에서는 보다 많은 포도당이 산화되어 더 많은 전자들 이 생성되며 이들이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수송 통로로 유입되어 역치 (critical threshold) 를 넘어서면 정상적인 전자의 전달이 억제되고, coenzyme Q 에 전자들이 쌓이게 되면 산소로 전달이 되어 과산화물이 과도하게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과산화물이 해당 과정 (glycolysis) 에 필수적 인자인 GAPDH 를 억제함으로써 해당 과정의 상위 중간물질들 (glucose, glucose-6-p, fructose-6-p, glyceraldehyde-3-p) 이 축적되고, 결국 이전에 기술했던 네 가지 경로가 모두 활성화되어 DR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ref>Brownlee M. Biochemistry and molecular cell biology of diabetic complications. ''Nature''. 2001 Dec 13;414(6865):813-20. [https://pubmed.ncbi.nlm.nih.gov/11742414/ 연결]</ref>.
==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 성장인자 및 세포 유발인자 ==
DR의 발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인자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액-망막 장벽을 손상시키고, 신생혈관의 형성을 자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혈관 형성인자로
DR의 발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인자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액-망막 장벽을 손상시키고, 신생혈관의 형성을 자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혈관 형성인자로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