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발생 기전: 두 판 사이의 차이

1,03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 단백질 키나아제 C 경로 ===
=== 단백질 키나아제 C 경로 ===
=== 헥소자민 경로 ===
=== 헥소자민 경로 ===
포도당은 정상적으로 해당 과정 (glycolysis) 을 통해 대사되는데, 포도당이 포도당 6인산 (glucose 6-phosphate) 을 거쳐 과당 6인산 (fructose 6-phosphate) 이 되고 피루브산염 (pyruvate) 으로 분해되어 TCA cycle 로 들어 가서 ATP 를 생성한다. 그러나 세포내 고혈당 상태가 되면 과당 6인산 중 일부가 글루코사민 6인산 (glucosamine 6-phosphate) 으로 전환되며 이는 효소에 의해 uridine diphosphate N-acetyl glucosamine으로 변환 된다. 이것은 여러 전사인자를 활성화하여 TGF-β1 과 PAI-1 을 발현시켜 혈관이나 모세혈관의 폐쇄를 유발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또한, ganglioside 의 생성 을 촉진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실제로 이 경로를 통해 망막의 혈관 주위세포에서 강글리오사이드의 생성이 증가하고 혈관주위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어 초기 DR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 미토콘드리아 유발 활성 산소족 ===
앞에서 설명한 고혈당에 의한 세포손상의 4가지 기전을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 (electron transport chain, ETC) 이상으로 인한 과산화물 (superoxide)의 생산 증가라는 한가지 공통 기전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고혈당에 의한 세포손상의 4가지 기전을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 (electron transport chain, ETC) 이상으로 인한 과산화물 (superoxide)의 생산 증가라는 한가지 공통 기전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