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 후의 처치 및 재평가) |
잔글 (→수술적 치료)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수술이 원칙이다. 안압 상승이 지속되면 섬유주의 영구적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나이에 상관없이 확진만 되면 조기에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션천녹내장의 수술방법인 전방각 절개술과 섬유주 절개술 중 어느 방법이나 첫번 수술이 성공될 기회가 가장 높다. | 수술이 원칙이다. 안압 상승이 지속되면 섬유주의 영구적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나이에 상관없이 확진만 되면 조기에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션천녹내장의 수술방법인 전방각 절개술과 섬유주 절개술 중 어느 방법이나 첫번 수술이 성공될 기회가 가장 높다. | ||
[[전방각 절개술]] 및 [[섬유주 절개술]]은 선천 녹내장에서 우선 선택되는 수술 방법이다. 생후 1~24개월 내에 발생한 녹내장은 홍채가 섬유주에서 분리되지 않아 발생하는 섬유주 이상 발육에 기인하므로 섬유주 내측만 절개하여도 홍채의 후진, 공막 돌기의 후방 외전 등이 이루어져 성공률이 높지만, 홍채 결손 혹은 각막 이상을 합병하거나 출생시 혹은 생후 1개월 이내에 발생하거나, 생후 24개월 이후에 발생한 녹내장에서 그 성공률이 낮다. 전방각 절개술은 각막 직경이 14mm 이하이고 각막 부종과 혼탁이 없어 전방각이 잘 보일 때에 우선 선택하며 전방각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한다. | [[전방각 절개술]] 및 [[섬유주 절개술]]은 선천 녹내장에서 우선 선택되는 수술 방법이다. 생후 1~24개월 내에 발생한 녹내장은 홍채가 섬유주에서 분리되지 않아 발생하는 섬유주 이상 발육에 기인하므로 섬유주 내측만 절개하여도 홍채의 후진, 공막 돌기의 후방 외전 등이 이루어져 성공률이 높지만, 홍채 결손 혹은 각막 이상을 합병하거나 출생시 혹은 생후 1개월 이내에 발생하거나, 생후 24개월 이후에 발생한 녹내장에서 그 성공률이 낮다. 전방각 절개술은 각막 직경이 14mm 이하이고 각막 부종과 혼탁이 없어 전방각이 잘 보일 때에 우선 선택하며 전방각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한다. | ||
전방각 절개술 혹은 섬유주 절개술을 전방각 360도에 했음에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조절되지 않으면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이때에는 5-FU 혹은 mitomycin C와 같은 약물을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섬유주 절제술을 추가로 실시하게 되고 그 다음에는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과 섬모체 파괴술 등을 고려한다. | |||
== 수술 후의 처치 및 재평가 == | == 수술 후의 처치 및 재평가 == | ||
선천 녹내장 환아는 수술 후 일정한 간격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각막 혼탁이 소실되면 4~6주에 다시 검사한다. 이 때 전신 마취의 안압 하강 효과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녹내장이 잘 조절되면 눈물 흘림, 눈부심, 눈꺼풀 연축은 감소되나 오랫동안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각막 직경은 증가하지 않고, 유두 함몰은 감소하든가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방각경으로 수술 부위를 관찰하여 전방각 절개가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하고 또 합병증 유무도 조사한다. 다음 검사는 3~4개월 후, 그 다음은 1년은 6개월마다, 그 다음부터는 1년마다 시행한다. 물론 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더 자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 선천 녹내장 환아는 수술 후 일정한 간격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각막 혼탁이 소실되면 4~6주에 다시 검사한다. 이 때 전신 마취의 안압 하강 효과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녹내장이 잘 조절되면 눈물 흘림, 눈부심, 눈꺼풀 연축은 감소되나 오랫동안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각막 직경은 증가하지 않고, 유두 함몰은 감소하든가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방각경으로 수술 부위를 관찰하여 전방각 절개가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하고 또 합병증 유무도 조사한다. 다음 검사는 3~4개월 후, 그 다음은 1년은 6개월마다, 그 다음부터는 1년마다 시행한다. 물론 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더 자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