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유리체 절제술)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경성 삼출물이 있으면서 그 바깥쪽에 두꺼워진 망막이 이어져 있을 때 |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경성 삼출물이 있으면서 그 바깥쪽에 두꺼워진 망막이 이어져 있을 때 | ||
# 황반 중심으로부터 1 유두 직경 이내에 1 유두 면적 이상 두꺼워진 망막이 걸쳐 있을 때 | # 황반 중심으로부터 1 유두 직경 이내에 1 유두 면적 이상 두꺼워진 망막이 걸쳐 있을 때 | ||
=== 단계 === | |||
후극부에 망막 두꺼워짐이나 경성 삼출물이 존재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
* 가벼운 DME : 후극부에 망막 두꺼워짐이나 경성 삼출물이 존재하지만 황반 중심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 | |||
* 중등도 DME : 황반 중심에 근접하여 망막 두꺼워짐이나 경성 삼출물이 존재하지만 황반 중심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 |||
* 심한 DME : 황반 중심을 포함하는 망막 두꺼워짐이나 경성 삼출물이 존재하는 경우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세극등 : 입체시를 이용한 고배율의 안저 검사가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이를 위해 90 디옵터 렌즈 등의 비접촉성 렌즈 혹은 골드만 삼면경 등의 접촉성 렌즈가 필요하다. | * 세극등 : 입체시를 이용한 고배율의 안저 검사가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이를 위해 90 디옵터 렌즈 등의 비접촉성 렌즈 혹은 골드만 삼면경 등의 접촉성 렌즈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