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브루크막) |
잔글 (→맥락막)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맥락막 === | === 맥락막 === | ||
나이가 들면 맥락막 혈류는 감소되는데, 이는 혈류 속도의 감소보다는 혈류량의 감소 때문이다<ref>Grunwald JE et al. Effect of aging on foveolar choroidal circulation. ''Arch Ophthalmol''. 1998 Feb;116(2):150-4. [https://pubmed.ncbi.nlm.nih.gov/9488265/ 연결]</ref>. 나이가 들면서 CNV의 밀도와 직경이 감소하고 또한 중간 크기 혈관이 주로 존재하는 맥락막의 중간층도 얇아진다. 맥락막의 두께는 출생 시에는 평균 200㎛ 에 이르지만 90세에는 80㎛까지 감소된다<ref>Ramrattan RS et al. Morphometric analysis of BM, the choriocapillaris, and the choroid in aging. ''IOVS''. 1994 May;35(6):2857-64. [https://pubmed.ncbi.nlm.nih.gov/8188481/ 연결]</ref>. 맥락막이 얇아지면서 남아있는 큰 혈관이 더 현저하게 두드러져 보여 노인 범무늬 안저의 모습을 띠게 된다. 노인 범무늬 안저에서 맥락막 혈관이 비추어 보이는 것은 기존에는 RPE의 색소 감소 또는 소실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맥락막 위축이 더 중요한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나이가 들면 맥락막 혈류는 감소되는데, 이는 혈류 속도의 감소보다는 혈류량의 감소 때문이다<ref>Grunwald JE et al. Effect of aging on foveolar choroidal circulation. ''Arch Ophthalmol''. 1998 Feb;116(2):150-4. [https://pubmed.ncbi.nlm.nih.gov/9488265/ 연결]</ref>. 나이가 들면서 CNV의 밀도와 직경이 감소하고 또한 중간 크기 혈관이 주로 존재하는 맥락막의 중간층도 얇아진다. 맥락막의 두께는 출생 시에는 평균 200㎛ 에 이르지만 90세에는 80㎛까지 감소된다<ref>Ramrattan RS et al. Morphometric analysis of BM, the choriocapillaris, and the choroid in aging. ''IOVS''. 1994 May;35(6):2857-64. [https://pubmed.ncbi.nlm.nih.gov/8188481/ 연결]</ref>. 맥락막이 얇아지면서 남아있는 큰 혈관이 더 현저하게 두드러져 보여 노인 범무늬 안저의 모습을 띠게 된다. 노인 범무늬 안저에서 맥락막 혈관이 비추어 보이는 것은 기존에는 RPE의 색소 감소 또는 소실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맥락막 위축이 더 중요한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
== 영상 검사 상 변화 == | |||
FA 혹은 OCT 상 확인되는 오목 무혈관 부위의 크기는 나01에 따라 증가한다. OCT, OCTA 에서 확인되는 맥락막 소견상 해부학적 소견과 일치되게 황반부 맥락막 모세혈관의 밀도와 맥락막 두께의 감소 소견을 보인다. 맥락막 두께는 정상인의 경우도 개인별로 큰 변이를 보이지만 중심부 두께의 경우 나이에 따라 매년 약 2~4㎛ 의 감소를 보인다고 한다<ref>Ouyang Y et al. Spatial distribution of PP choroidal thickness by SD-OCT. ''IOVS''. 2011 Sep 1;52(9):7019-26. [https://pubmed.ncbi.nlm.nih.gov/21810980/ 연결]</ref>. 지방 갈색소는 AF 소견에서 확인되는 주된 형광 물질이므로 황반 자가형광의 형광 정도를 정량함으로써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 지방 갈색소의 축적을 측정한다<ref>Delori FC et al. In vivo fluorescence of the ocular fundus exhibits RPE lipofuscin characteristics. ''IOVS''. 1995 Mar;36(3):718-29. [https://pubmed.ncbi.nlm.nih.gov/7890502/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