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효과)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 |} | ||
== 효과 == | == 효과 == |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첫 안구내 베바시주맙 주사 치료가 보고된 이래, 수많은 후향적 연구들과 매우 적은 규모의 전향적 연구들에서 베바시주맙 주사 치료가 시력을 호전시키고 FA에서 누출이 감소하며 부종이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내 일회 주사 후 반감기는 여러 연구에서 3~10일 정도로 측정되었다<ref>Miyake T et al. Pharmacokinetics of bevacizumab and its effect on VEGF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in macaque eyes. ''IOVS''. 2010 Mar;51(3):1606-8.[https://pubmed.ncbi.nlm.nih.gov/19875666/ 연결]</ref><ref>Krohne TU et al. Intraocular pharmacokinetics of bevacizumab after a single intravitreal injection in humans. ''AJO''. 2008 Oct;146(4):508-12. [https://pubmed.ncbi.nlm.nih.gov/18635152/ 연결]</ref><ref>Zhu Q et al; Tübingen Bevacizumab Study Group, Grisanti S. Vitreous levels of bevacizumab and VEGF-A in patients with CNV. ''Ophthalmology''. 2008 Oct;115(10):1750-5, 1755.e1. [https://pubmed.ncbi.nlm.nih.gov/18708261/ 연결]</ref>. 베바시주맙은 [[라니비주맙]]과 유사한 치료 효과를 갖는 반면,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라니비주맙]]이 FDA 승인을 받기 이전부터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시행되기 이전부터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첫 안구내 베바시주맙 주사 치료가 보고된 이래, 수많은 후향적 연구들과 매우 적은 규모의 전향적 연구들에서 베바시주맙 주사 치료가 시력을 호전시키고 FA에서 누출이 감소하며 부종이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내 일회 주사 후 반감기는 여러 연구에서 3~10일 정도로 측정되었다<ref>Miyake T et al. Pharmacokinetics of bevacizumab and its effect on VEGF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in macaque eyes. ''IOVS''. 2010 Mar;51(3):1606-8.[https://pubmed.ncbi.nlm.nih.gov/19875666/ 연결]</ref><ref>Krohne TU et al. Intraocular pharmacokinetics of bevacizumab after a single intravitreal injection in humans. ''AJO''. 2008 Oct;146(4):508-12. [https://pubmed.ncbi.nlm.nih.gov/18635152/ 연결]</ref><ref>Zhu Q et al; Tübingen Bevacizumab Study Group, Grisanti S. Vitreous levels of bevacizumab and VEGF-A in patients with CNV. ''Ophthalmology''. 2008 Oct;115(10):1750-5, 1755.e1. [https://pubmed.ncbi.nlm.nih.gov/18708261/ 연결]</ref>. 베바시주맙은 [[라니비주맙]]과 유사한 치료 효과를 갖는 반면,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라니비주맙]]이 FDA 승인을 받기 이전부터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시행되기 이전부터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로서 널리 사용되었다<ref>Brechner RJ et al. Pharmacotherapy for wAMD : an analysis of the 100% 2008 medicare fee-for-service part B claims file. ''AJO''. 2011 May;151(5):887-895.e1. [https://pubmed.ncbi.nlm.nih.gov/21310390/ 연결]</ref>. | ||
== 관련 연구 == | == 관련 연구 == | ||
* [[CATT]] | * [[CATT]]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