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연구의 목적) |
잔글 (→대상 및 방법)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대상 및 방법 == | == 대상 및 방법 == | ||
한 달 간격으로 방문 시 시행하는 OCT 검사 결과의 기준에 따라 재치료의 가이드라인을 정하였다. 병변의 종류나 과거에 받은 치료 여부와 상관 없이 대상군에 포함되었고, 1개월 간격으로 첫 3회 0.5mg ranibizumab을 유리체내 주사하였다. 그 이후에는 1개월 간격으로 경과 관찰 하였으며, 다음 기준에 따라 재치료 여부를 결정하였다. | 한 달 간격으로 방문 시 시행하는 OCT 검사 결과의 기준에 따라 재치료의 가이드라인을 정하였다. 병변의 종류나 과거에 받은 치료 여부와 상관 없이 대상군에 포함되었고, 1개월 간격으로 첫 3회 0.5mg ranibizumab을 유리체내 주사하였다. 그 이후에는 1개월 간격으로 경과 관찰 하였으며, 다음 기준에 따라 재치료 여부를 결정하였다. | ||
* 5글자 이상의 시력 감소와 OCT 상에서 관찰되는 fluid | * 5글자 이상의 시력 감소와 OCT 상에서 관찰되는 fluid | ||
14번째 줄: | 12번째 줄: | ||
* FA 상 새로운 전형 맥락막 신생혈관 | * FA 상 새로운 전형 맥락막 신생혈관 | ||
* 치료 1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fluid | * 치료 1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fluid | ||
== 결과 == | == 결과 == | ||
40명의 환자가 참여하였고 1년 동안 총 222번의 주사를 맞았다.<br />1년째 안정적이거나 호전된 환자의 95%에서 9.3 글자수의 증가가 있었으며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178㎛ 감소하였다.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된 경우는 35% 였으며 약 1년 동안 평균 5.6회의 주사 치료를 받았다. 병변이 좋아진 후 재치료가 필요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약 4.5개월 이었다.<br />2년째 경과 관찰한 연구에서는 주사 치료 후 시행한 OCT 검사에서 fluid가 증가하기만 하여도 재치료를 하였는데, 24개월째 시력은 11.1 글자수가 증가하였고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212㎛ 감소하였다. 43% 환자에서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되었고, 총 9.9회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 40명의 환자가 참여하였고 1년 동안 총 222번의 주사를 맞았다.<br />1년째 안정적이거나 호전된 환자의 95%에서 9.3 글자수의 증가가 있었으며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178㎛ 감소하였다.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된 경우는 35% 였으며 약 1년 동안 평균 5.6회의 주사 치료를 받았다. 병변이 좋아진 후 재치료가 필요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약 4.5개월 이었다.<br />2년째 경과 관찰한 연구에서는 주사 치료 후 시행한 OCT 검사에서 fluid가 증가하기만 하여도 재치료를 하였는데, 24개월째 시력은 11.1 글자수가 증가하였고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212㎛ 감소하였다. 43% 환자에서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되었고, 총 9.9회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 ||
== 결론 == | == 결론 == | ||
이와 같이 OCT를 사용한 가변적이 재치료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매달 주사하는 기존 주사 치료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실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 이와 같이 OCT를 사용한 가변적이 재치료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매달 주사하는 기존 주사 치료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실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