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7/ 연결]</ref> | {{망막}}<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7/ 연결]</ref> | ||
== 설계 == | == 설계 == | ||
전향적, 무작위, 이중 맹검, 다기관 2상 연구 | 전향적, 무작위, 이중 맹검, 다기관 2상 연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두 군 모두 첫 3달 동안 매달 주사하고 이후로는 8주 간격으로 32주까지 주사하였으며, 32주 이후에는 1군은 12주로 주사 간격을 늘리고 2군은 8주의 주사 간격을 유지하여 56주까지 관찰하였다. | 두 군 모두 첫 3달 동안 매달 주사하고 이후로는 8주 간격으로 32주까지 주사하였으며, 32주 이후에는 1군은 12주로 주사 간격을 늘리고 2군은 8주의 주사 간격을 유지하여 56주까지 관찰하였다. | ||
== 결과 == | == 결과 == | ||
최대 교정 시력의 호전은 치료 시작 12주 후, 16주 후, 40주 후 모두에서 1군 (40주에 +6.25 글자수) 과 2군 (40주에 +5.75 글자수) 에서 비슷하였으며, 1군의 50%가 12주 간격의 주사 기간 동안에도 안정적인 시력을 유지하였다. 중심 망막 두께는 모든 시기에서 1군에서 2군보다 저명한 감소를 보였으며, 치료 후 망막내액과 망막하액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역시 1군에서 높았다 (61.0 vs 35.0%). | |||
{{참고}} | {{참고}} | ||
[[분류:망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