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혈관종 증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6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망막 혈광종 증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혈관종 증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1992년 Hartnett 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연관된 장액 망막 색소상피 박리에서 망막 혈관 이상이 동반된 경우를 처음으로 관찰하였고, 이를 'retinal angiomatous lesion', 'deep retinal vascular anomalous complex'로 불렀다. 이후 망막의 모세혈관에서 시작한 혈관 증식이 망막 아래로 진행하면서 기존의 신생 혈관이 동반된 [[나이 관련 황반 변성]]에서 나타나는 여러 증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임상적 관찰이 축적되었다. 2002년 Yannuzzi 등은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질환을 '''망막 혈관종 증식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이라고 명명하고,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 동반된 신생혈관의 한 형태로 보았다{{망막}}.
1992년 Hartnett 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연관된 장액 망막 색소상피 박리에서 망막 혈관 이상이 동반된 경우를 처음으로 관찰하였고, 이를 'retinal angiomatous lesion', 'deep retinal vascular anomalous complex'로 불렀다. 이후 망막의 모세혈관에서 시작한 혈관 증식이 망막 아래로 진행하면서 기존의 신생 혈관이 동반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에서 나타나는 여러 증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임상적 관찰이 축적되었다. 2002년 Yannuzzi 등은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질환을 '''망막 혈관종 증식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이라고 명명하고,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 동반된 신생혈관의 한 형태로 보았다{{망막}}.
== 역학 ==
== 역학 ==
서양인에서는 새로 발생한 신생혈관이 동반된 AMD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만 우리나라에서는 5%에 머물러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인종 간의 발생 빈도 차이는 AMD의 발생 기전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서양인에서는 새로 발생한 신생혈관이 동반된 AMD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만 우리나라에서는 5%에 머물러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인종 간의 발생 빈도 차이는 AMD의 발생 기전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