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AMD 환자에서는 브루크막의 탄력층이 같은 나이의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얇아져 있고, 연결성이 깨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 변화가 CNV의 브루크막 침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ref>Chong NH et al. Decreased thickness and integrity of the macular elastic layer of BM correspond to the distribution of lesions a/w AMD. ''Am J Pathol''. 2005 Jan;166(1):241-51. [https://pubmed.ncbi.nlm.nih.gov/15632016/ 연결]</ref>. 보통 브루크막의 안쪽까지 침투한 CNV는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옆으로 자라게 되고, RPE의 연결성이 깨진 곳에서 망막하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ref name="r1" />. | AMD 환자에서는 브루크막의 탄력층이 같은 나이의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얇아져 있고, 연결성이 깨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 변화가 CNV의 브루크막 침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ref>Chong NH et al. Decreased thickness and integrity of the macular elastic layer of BM correspond to the distribution of lesions a/w AMD. ''Am J Pathol''. 2005 Jan;166(1):241-51. [https://pubmed.ncbi.nlm.nih.gov/15632016/ 연결]</ref>. 보통 브루크막의 안쪽까지 침투한 CNV는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옆으로 자라게 되고, RPE의 연결성이 깨진 곳에서 망막하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ref name="r1" />.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대부분은 시력 감소, 변형시, 중심 암점을 호소하며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망막하액, 망막내액, 망막하 출혈 또는 섬유혈관 조직에 의한 시신경층과 RPE의 파괴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 대부분은 시력 감소, 변형시, 중심 암점을 호소하며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망막하액, 망막내액, 망막하 출혈 또는 섬유혈관 조직에 의한 시신경층과 RPE의 파괴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ref>Green WR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 a histopathologic study. ''Trans Am Ophthalmol Soc''. 1977;75:180-254. [https://pubmed.ncbi.nlm.nih.gov/613523/ 연결]</ref><ref>Green WR et al. Pathologic features of senile macular degeneration. ''Ophthalmology''. 1985 May;92(5):615-27. [https://pubmed.ncbi.nlm.nih.gov/2409504/ 연결]</ref><ref>Bressler SB et al.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of occult CNV in AMD. ''Arch Ophthalmol''. 1992 Jun;110(6):827-32. [https://pubmed.ncbi.nlm.nih.gov/1375826/ 연결]</ref>. | ||
시력 손상이 있는 노인에서 망막하 출혈, 지방 삼출물 또는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관찰될 경우 이는 주로 맥락막 신생혈관을 시사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을 강하게 의심해야 하는 임상 양상으로는 동반된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하 지방 삼출물, 망막하 출혈, 혼탁한 망막하액 (turbid subretinal fluid) 등이 있다.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동반될 수 있으며, 특히 RPED 내층 또는 둘러싸는 출혈은 CNV를 의심하는 소견이다. 출혈이 망막색소상피 하층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암녹색을 띤 출혈이 관찰 되고 RPE와 망막 사이의 출혈은 보다 붉은색 출혈로 관찰된다. 드물게는 출혈이 망막을 통해 유리체강 내로 퍼져 광범위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감별을 요한다. | 시력 손상이 있는 노인에서 망막하 출혈, 지방 삼출물 또는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관찰될 경우 이는 주로 맥락막 신생혈관을 시사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을 강하게 의심해야 하는 임상 양상으로는 동반된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하 지방 삼출물, 망막하 출혈, 혼탁한 망막하액 (turbid subretinal fluid) 등이 있다.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동반될 수 있으며, 특히 RPED 내층 또는 둘러싸는 출혈은 CNV를 의심하는 소견이다. 출혈이 망막색소상피 하층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암녹색을 띤 출혈이 관찰 되고 RPE와 망막 사이의 출혈은 보다 붉은색 출혈로 관찰된다. 드물게는 출혈이 망막을 통해 유리체강 내로 퍼져 광범위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감별을 요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