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9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6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이 혈관들은 맥락막기에서 맥락막 혈관으로 나타나며 명확히 누출되는 맥락막 모세혈관들과 연결되어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의 재발성 CNV에서 가장 흔하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 중앙에서 자라나기 시작해 재발한 CNV 부위로 증식한다. 하지만 치료받지 않았던 부위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연적인 상처 형성에 관여하기도 한다.
이 혈관들은 맥락막기에서 맥락막 혈관으로 나타나며 명확히 누출되는 맥락막 모세혈관들과 연결되어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의 재발성 CNV에서 가장 흔하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 중앙에서 자라나기 시작해 재발한 CNV 부위로 증식한다. 하지만 치료받지 않았던 부위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연적인 상처 형성에 관여하기도 한다.
=== [[망막 색소상피 파열]] ===
=== [[망막 색소상피 파열]] ===
 
== OCT ==
=== 1형 : 망막 색소상피하 신생혈관 ===
=== 2형 : 망막하 신생혈관 ===
CNV가 브루크막과 RPE를 뚫고 나와 신경망막 아래쪽으로 자라나온 것으로 FA에서 초기에 분명한 과형광, 후기에 초기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을 보이는 전형 CNV의 형태를 보인다. 병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여 [[광역학 치료]]의 대상이 되며, Gass 분류에서 제 2형 CNV에 해당한다.
=== 3형 : [[망막 혈관종 증식]] ===
심부 망막 모세혈관층의 혈관 또는 그 하부의 CNV가 증식하여 점진적으로 RPE를 파괴하며 맥락막 혈관과 망막 혈관의 문합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질환군으로 일반적으로 제 3형 CNV로 불린다. OCT에서 망막내 낭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연성 드루젠]]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안저 자가 형광]] ===
=== [[안저 자가 형광]] ===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