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롤루시주맙: 두 판 사이의 차이

34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7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Beovu)'''{{망막}} 은 2019년 새롭게 FDA 승인된 치료제로, 단일 사슬 항체 분절 (single-chain Ab fragment) 로 모든 아형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Beovu, RTH258)'''{{망막}} (Alcon/Novartis, Forth Worth, TX, USA) 은 2019년 새롭게 FDA 승인된 치료제로, 단일 사슬 항체 분절 (single-chain Ab fragment) 로 모든 아형 VEGF-A에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시킨다<ref>Sharma A et al. Brolucizimab-leading an era of structural revolution for long-term VEGF suppression. ''Eye (Lond)''. 2020 Apr;34(4):611-613. [https://pubmed.ncbi.nlm.nih.gov/31537892/ 연결]</ref>.
VEGF-A에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시킨다<ref>Sharma A et al. Brolucizimab-leading an era of structural revolution for long-term VEGF suppression. ''Eye (Lond)''. 2020 Apr;34(4):611-613. [https://pubmed.ncbi.nlm.nih.gov/31537892/ 연결]</ref>.
== 장점 ==
== 장점 ==
단일 사슬 항체 분적은 항체의 가장 작은 기능적 구성 단위이기 때문에 분자량은 26kDa 로 48kDa 인 [[라니비주맙]]이나 115kDa 인 [[애플리버셉트]]보다 작아 생체내 투과 및 전달이 용이하며 약물의 지속 기간이 길다<ref>Holz FG et al. Single-Chain Ab Fragment VEGF Inhibitor RTH258 for wAMD : A RCT. ''Ophthalmology''. 2016 May;123(5):1080-9. [https://pubmed.ncbi.nlm.nih.gov/26906165/ 연결]</ref>.
단일 사슬 항체 분적은 항체의 가장 작은 기능적 구성 단위이기 때문에 분자량은 26kDa 로 48kDa 인 [[라니비주맙]]이나 115kDa 인 [[애플리버셉트]]보다 작아 망막 투과성이 증대되어 목표 조직에서의 약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꼬 전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ref>Holz FG et al. Single-Chain Ab Fragment VEGF Inhibitor RTH258 for wAMD : A RCT. ''Ophthalmology''. 2016 May;123(5):1080-9. [https://pubmed.ncbi.nlm.nih.gov/26906165/ 연결]</ref>.


== 관련 연구 ==
== 관련 연구 ==
1, 2상 임상 연구에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특히 서방형 약물 전달 기구와 같이 투여 시 높은 안구내 농도가 유지되며 약효가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OSPREY]]<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7/ 연결]</ref>
* [[OSPREY]]<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7/ 연결]</ref>
* [[HAWK and HARRIER]]<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Study Investigators. HAWK and HARRIER : P3,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Masked Trials of Brolucizumab for wAMD. ''Ophthalmology''. 2020 Jan;127(1):72-84. [https://pubmed.ncbi.nlm.nih.gov/30986442/ 연결]</ref>
* [[HAWK and HARRIER]]<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Study Investigators. HAWK and HARRIER : P3,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Masked Trials of Brolucizumab for wAMD. ''Ophthalmology''. 2020 Jan;127(1):72-84. [https://pubmed.ncbi.nlm.nih.gov/30986442/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