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허혈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2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7일 (목)
잔글
16번째 줄: 16번째 줄:
=== 전안부 소견 ===
=== 전안부 소견 ===
[[홍채 신생혈관|홍채 혈관신생]] (NVI), 홍채염, 각막 주름이 대표적이고 그 외에도 결막 충혈, 상공막 충혈, 각막 혼탁,주변 홍채앞 유착, 전방각 혈관신생, 홍채 부분 위축, 동공반응 감소, 심한 비대칭 백내장, 전방 흐림, 전방 세포,각막 침착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견은 후안부 허혈에 대한 이차적 반응일 수도 있지만 전안부 자체의 허혈을 의미하기도 한다.
[[홍채 신생혈관|홍채 혈관신생]] (NVI), 홍채염, 각막 주름이 대표적이고 그 외에도 결막 충혈, 상공막 충혈, 각막 혼탁,주변 홍채앞 유착, 전방각 혈관신생, 홍채 부분 위축, 동공반응 감소, 심한 비대칭 백내장, 전방 흐림, 전방 세포,각막 침착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견은 후안부 허혈에 대한 이차적 반응일 수도 있지만 전안부 자체의 허혈을 의미하기도 한다.
* 홍채 혈관신생 : 처음 진단 시 OIS 환자의 2/3에서 관찰된다. 그러나 섬유혈관조직으로 전방각이 완전히 막힌 경우라도 절반이 조금 넘는 환자에서만 안압상승을 관찰수 있는데 이것은 섬모체 관류 장애와 방수 생산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 홍채 혈관신생 (67%) : 처음 진단 시 OIS 환자의 2/3에서 관찰된다. 그러나 섬유혈관조직으로 전방각이 완전히 막힌 경우라도 절반이 조금 넘는 환자 (35%) 에서만 안압 상승을 관찰수 있는데 이것은 섬모체 관류 장애와 방수 생산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 방수 흐림 : 대부분의 NVI에서 방수 흐림을 관찰할 수 있고 전방세포 반응은 환자의 약 1/5에서 관찰되지만 심하지 않으며 각막 침착물은 드물게 보인다.
* 방수 흐림 (18%): 대부분의 NVI에서 방수 흐림을 관찰할 수 있고 전방세포 반응은 환자의 약 1/5에서 관찰되지만 심하지 않으며 각막 침착물은 드물게 보인다.
* 수정체 혼탁 : 편측성인 경우라 하더라도 수정체 혼탁은 양안 차이가 거의 없으나 병이 진행할수록 혼탁도 진행되며 많이 진행된 경우, 성숙 백내장이 되기도 한다.
* 수정체 혼탁 : 편측성인 경우라 하더라도 수정체 혼탁은 양안 차이가 거의 없으나 병이 진행할수록 혼탁도 진행되며 많이 진행된 경우, 성숙 백내장이 되기도 한다.
* 측부 혈관 : 양측의 외경동맥을 서로 연결하는 측부 혈관이 가끔 이마에서 관찰되는데 [[거대세포 동맥염]]에서 보이는 압통을 동반한 확장된 혈관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 측부 혈관 : 양측의 외경동맥을 서로 연결하는 측부 혈관이 가끔 이마에서 관찰되는데 [[거대세포 동맥염]]에서 보이는 압통을 동반한 확장된 혈관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 후안부 소견 ===
=== 후안부 소견 ===
전안부 소견보다 더 흔히 나타난다. 망막동 맥의 가늘어짐, 망막정맥의 확장(구불거리지는 않음), 망막 출혈과 미세혈관류, 시신경 유두나 망막의 혈관신생, 앵두 반점, 면화반, 망막동맥의 자연 박동, 망막동맥 내 콜레스테롤 색전 등이 있다. 앞허혈 시신경병증도 나타날 수 있고 동정맥 연결도 드물게 관찰되기도 한다.
전안부 소견보다 더 흔히 나타난다. 망막동 맥의 가늘어짐, 망막정맥의 확장(구불거리지는 않음), 망막 출혈과 미세혈관류, 시신경 유두나 망막의 혈관신생, 앵두 반점, 면화반, 망막동맥의 자연 박동, 망막동맥 내 콜레스테롤 색전 등이 있다. 앞허혈 시신경병증도 나타날 수 있고 동정맥 연결도 드물게 관찰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