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후안부 소견) |
잔글 (→검사 및 진단)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ERG : a, b파 모두 감소되거나 소멸되는데<ref>Brown GC et al. Arterial obstruction and ocular NV. ''Ophthalmology''. 1982 Feb;89(2):139-46. [https://pubmed.ncbi.nlm.nih.gov/6175934/ 연결]</ref>, 이것은 망막과 맥락막 순환이 모두 손상되어 내망막과 외망막이 모두 허혈상태에 빠지기 때문이다. 반면 [[망막 중심 동맥 폐쇄|CRAO]]에서는 내망막만 허혈 상태가 되므로 주로 b파만 감소한다<ref>Carr RE et al. Electrophysiologic Aspects of Several Retinal Diseases. ''AJO''. 1964 Jul;58:95-107. [https://pubmed.ncbi.nlm.nih.gov/14177989/ 연결]</ref>. | * ERG : a, b파 모두 감소되거나 소멸되는데<ref>Brown GC et al. Arterial obstruction and ocular NV. ''Ophthalmology''. 1982 Feb;89(2):139-46. [https://pubmed.ncbi.nlm.nih.gov/6175934/ 연결]</ref>, 이것은 망막과 맥락막 순환이 모두 손상되어 내망막과 외망막이 모두 허혈상태에 빠지기 때문이다. 반면 [[망막 중심 동맥 폐쇄|CRAO]]에서는 내망막만 허혈 상태가 되므로 주로 b파만 감소한다<ref>Carr RE et al. Electrophysiologic Aspects of Several Retinal Diseases. ''AJO''. 1964 Jul;58:95-107. [https://pubmed.ncbi.nlm.nih.gov/14177989/ 연결]</ref>. | ||
=== 경동맥 폐쇄 평가 === | |||
==== 경동맥 초음파 ==== | |||
경동맥 초음파 (carotid duplex ultrasound, carotid DUS) 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비침습적 검사이고,B-mode 초음파와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혈관의 해부학적 영상과 혈류속도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다. 경동맥 초음파는 75% 이상의 경동맥 협착을 진단하는 데 있어 88~95%의 정확도를 보인다.13-15 협착 심각도 분류에 사용되는 변수는 최고 수축기 유속 (peak systolic velocity, PSV), 이완기말 유속 (end diastolic velocity), 내경동맥/외경동맥 수축기 유속 비율 (internal/external carotid artery PSV ratio) 등이다. | |||
==== 최소 침습 검사 ==== | |||
경동맥 협착에 대한 초음파에 이은 추가 검사로 새로운 비침습 또는 최소 침습 검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과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조영술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TA) 이 점차 동맥내 계수적 감산 혈관조영술 (intra-arterial digital substraction angiography, DSA) 을 대치하고 있으며, 계속 발전 개선되고 있다. MRA, CTA 그리고 DUS를 함께 사용하면 심한 증상을 동반한 경동맥 협착의 진단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DUS 결과만으로는 경동맥 내막절제술 선택을 결정할 수 없거나 불충분할 경우, MRA나 CTA를 이용하면 수술적 치료 결정을 위한 침습적 경동맥 혈관조영술 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 |||
경동맥 협착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DUS를 첫 검사로 선택해야 한다. 만약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의미있는 협착 소견을 보이거나 애매한 경우에는 Contrast-Enhanced MRA 또는 CTA가 추가로 필요하다. 두 검사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침습적인 경동맥 혈관조영술은 제외해도 된다. 하지만 만약 결과가 불일치하거나 결론을 내릴 수 없는 경우 DSA로 최종 결론을 내린다. | |||
== 치료 == |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