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허혈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60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7일 (목)
잔글
잔글 (→‎FA)
32번째 줄: 32번째 줄: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FA ===
=== FA2 ===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정상적으로 맥락막 충만은 형광 출현 후 5초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OIS에서는 맥락막 충만 지연이나 얼룩 충만이 나타나는데 일부에서는 1분 이상 지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비정상 맥락막 충만 지연은 가장 특이적인 소견이다.
정상적으로 맥락막 충만은 형광 출현 후 5초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OIS에서는 맥락막 충만 지연이나 얼룩 충만이 나타나는데 일부에서는 1분 이상 지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비정상 맥락막 충만 지연은 가장 특이적인 소견이다.


정상인에서는 귀쪽 망막동맥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난 후 10~11 초 내에 그에 해당하는 망막정맥도 형광으로 완전히 채워지지만, OIS 환자의 95%에서는 망막 동정맥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진단에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 또한 일부에서는 촬영이 끝날 때까지도 망막정맥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수 있다. 그러나 망막 중심동맥 폐쇄와 망막 중심정맥 폐쇄에서도 망막 동정맥 통과시간 지연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특이도는 낮다.
정상인에서는 귀쪽 망막동맥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난 후 10~11초 내에 그에 해당하는 망막정맥도 형광으로 완전히 채워지지만, OIS 환자의 95%에서는 망막 동정맥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진단에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 또한 일부에서는 촬영이 끝날 때까지도 망막정맥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수 있다. 그러나 망막 중심동맥 폐쇄와 망막 중심정맥 폐쇄에서도 망막 동정맥 통과시간 지연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특이도는 낮다.
 
후기에는 망막혈관 염색이 관찰되는데 큰 혈관이나 작은 혈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동맥에서 더 흔히 관찰된다. 만성 저산소증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망막 중심동맥 폐쇄만 있는 경우 혈관 염색은 드물며, 망막 중심정맥 폐쇄의 경우 후기에 정맥 염색은 관찰되나 동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17% 정도에서 황반부종이 후기 소견으로 관찰된다<ref>Brown GC. ME in a/w severe carotid artery obstruction. ''AJO''. 1986 Oct 15;102(4):442-8. [https://pubmed.ncbi.nlm.nih.gov/2429550/ 연결]</ref>. 저산소증으로 인한 작은 혈관의 내피세포 손상, 미세혈관류 또는 모세혈관 확장증 누출이 원인이 된다. 비록 FA에서는 누출이 심하여 망막이 두꺼워진 경우라도 황반의 낭포성 변화 소견을 동반하지는 않는다. 시신경 유두의 과형광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유두 부종은 보이지 않는다. 망막 모세혈관 비관류가 일부에서 관찰되는데 중간 주변부에서 나타나며, 조직학적으로 망막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주위세포가 결손된 부위와 대부분 일치한다<ref>Kahn M et al. Ocular features of carotid occlusive disease. ''Retina''. 1986 Winter;6(4):239-52. [https://pubmed.ncbi.nlm.nih.gov/3575893/ 연결]</ref><ref>Michelson PE et al. Ischemic ocular inflammation. A clinicopathologic case report. ''Arch Ophthalmol''. 1971 Sep;86(3):274-80. [https://pubmed.ncbi.nlm.nih.gov/5095554/ 연결]</ref>.


=== ICGA ===
=== ICGA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