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Smile님이 망막 분지 정맥 폐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분지정맥 폐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 |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 ||
== 역학 == | == 역학 == | ||
동정맥교차 원위부 일정구획의 침범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망막 <span style='color:blue;'>상이측 사분역</span>으로 상이측이 하이측에 비해 2배 호발한다. 4.5~6.5%의 환자에서 양안성으로 발견되며, 단안성으로 발병한 환자들 중 반대편 눈에 망막분지정맥폐쇄가 발생할 확률이 7~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 동정맥교차 원위부 일정구획의 침범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망막 <span style='color:blue;'>상이측 사분역</span>으로 상이측이 하이측에 비해 2배 호발한다. 4.5~6.5%의 환자에서 양안성으로 발견되며, 단안성으로 발병한 환자들 중 반대편 눈에 망막분지정맥폐쇄가 발생할 확률이 7~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Ranibizumab (Lucentis<sup>®</sup>) | * Ranibizumab (Lucentis<sup>®</sup>) | ||
* Aflibercept (Eylea<sup>®</sup>) | * Aflibercept (Eylea<sup>®</sup>)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 격자 레이저 광응고술 | * 격자 레이저 광응고술 | ||
24번째 줄: | 21번째 줄: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 동맥 교차부 혈관초 절개술 및 유리체 절제술 | * 동맥 교차부 혈관초 절개술 및 유리체 절제술 | ||
== 내과적 치료 == | |||
* 전신적 항응고제 투여 (경구 아스피린, 피하 헤파린 주사, 정맥 내 혈전 용해제 주사) : 현재까지 명백학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상태로, 부작용으로 망막 출혈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
* 트록세루틴 (troxerutin) : 적혈구 및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고 적혈구의 변형을 유도하여 미세 망막 혈류순환을 개선시키는 약제이다.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발병 5개월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치료군이 위약군에 비해 최종 시력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못하였다<ref>McIntosh RL et al. Interventions for BRVO :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Ophthalmology''. 2007 May;114(5):835-54. [https://pubmed.ncbi.nlm.nih.gov/17397923/ 연결]</ref>. | |||
* 티클로피딘 (ticlopidine) : 혈소판 응집 억제제이며 발병 3주 미만의 BRVO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 6개월 후 시력이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화기계 및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자연 경과는 폐쇄위치 및 폐쇄정도, 침범영역의 동맥 관류상태, 효과적인 우회혈관 형성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시력 상실을 유발하는 중요 합병증으로는 가장 흔한 것이 <span style='color:blue;'>황반 부종</span>이며, 그 외 황반 비관류,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 등이 있다. | 자연 경과는 폐쇄위치 및 폐쇄정도, 침범영역의 동맥 관류상태, 효과적인 우회혈관 형성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시력 상실을 유발하는 중요 합병증으로는 가장 흔한 것이 <span style='color:blue;'>황반 부종</span>이며, 그 외 황반 비관류,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 등이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