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분지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1,51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4일 (목)
잔글
16번째 줄: 16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br />한편 <span style='color:blue;'>[[홍채 혈관신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span>. 그러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서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우회 혈관과 신생 혈관을 검안경 검사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형광 안저 촬영을 시행하여 초기에 과다한 형광 누출을 보이면 신생 혈관으로 판단한다.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br />한편 <span style='color:blue;'>[[홍채 혈관신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span>. 그러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서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우회 혈관과 신생 혈관을 검안경 검사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형광 안저 촬영을 시행하여 초기에 과다한 형광 누출을 보이면 신생 혈관으로 판단한다.
== 검사 ==
=== FA ===
FA는 폐쇄 부위의 망막혈관 개통 여부, 혈류의 지연 상태뿐 아니라 모세혈관의 비관류 영역을 보여 주는 기본 검사이다. RVO로 인하여 망막 모세혈관이 손상되면 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하여 형광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와 혈관벽에 염색되거나 혈관외 조직에 축적된다. 특히 폐색01 장기간 지속되면 황반부에 꽃잎 모양의 낭포 변화가 생겨 FA 말기 프레임에 형광의 낭포형 누출 소견을 보인다. 모세혈관 비관류 영역은 초기에서 잘 관찰되는데, 황반 부위의 비관류 정도는 시력 예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안저 주변부 비관류 영역 범위는 추후 신생혈관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위험인자가 된다.
=== OCT ===
OCT는 RVO로 인한 황반부종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이용된다. BRVO의 특징적인 OCT 소견으로는 황반부종에서 보이는 망막내 낭포 변화 및 망막하액의 축적,망막 출혈로 인한 망막내 고반사, 부종과 출혈로 인한 음영 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OCT 상의 망막 미세 구조가 더욱 자세하고 정밀하게 관찰되므로, 망막내 체액의 망막 세포층 사이에서의 분포 및 허혈에 따른 망막의 특정 층의 손상, 특히 광수용 세포의 보전 상태 (photoreceptor IS/OS integrity) 로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
*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