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망막}} |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망막}} | ||
== 역학 == | == 역학 == | ||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에 비해 약 4배 더 호발한다. |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에 비해 약 4배 더 호발한다. 동정맥 교차 원위부 일정 구획의 침범을 특징으로 하며,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망막 상이측 사분역으로 상이측이 하이측에 비해 2배 호발한다<ref>Parodi MB et al. BRVO :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phthalmologica''. 2009;223(5):298-305. [https://pubmed.ncbi.nlm.nih.gov/19372724/ 연결]</ref>. 4.5~6.5%의 환자에서 양안성으로 발견되며, 단안성으로 발병한 환자들 중 반대편 눈에 발생할 확률01 약 7~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span style='color:blue;'>동정맥 교차부에서의 정맥 압박</span> === | === <span style='color:blue;'>동정맥 교차부에서의 정맥 압박</span>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대부분의 환자가 내원 시 0.5(20/40) 이하의 시력을 보이며, 자연 경과 상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50~60%가 최종 시력 0.5 이상을 보이게 되나, 심한 시력상실 또한 드물지 않아 20~25%의 환자는 0.1 이하의 최종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대부분의 환자가 내원 시 0.5(20/40) 이하의 시력을 보이며, 자연 경과 상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50~60%가 최종 시력 0.5 이상을 보이게 되나, 심한 시력상실 또한 드물지 않아 20~25%의 환자는 0.1 이하의 최종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 시력 === | |||
대부분의 환자가 내원 시 20/40 이하의 시력을 보이며, 자연 경과상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50~60%가 최종 시력 20/40 이상을 보이게 되나, 심한 시력 상실 또한 드물지 않아 20~25%의 환자는 20/200 이하의 최종 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f>T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 BRVO의 자연 경과는 폐쇄 위치 및 폐쇄 정도, 침범 영역의 동맥 관류 상태, 효과적인 우회 혈관 형성의 유무에 의 해결정된다.13 시력 상실을 유발하는 중요 합병증으로는 가장 흔한 것이 황반부종이며, 그 외 황반 비관류,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 등이 있다. | |||
== 검사 == | == 검사 == | ||
=== FA === | === F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