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혈액학적 질환)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증, 흡연은 RVO 환자에 있어 더 흔히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신 질환은 망막 동맥의 경화를 유발하며 이 경우 동정맥 교차부에서 동맥의 정맥 압박이 더 심해지고 공통 외막초의 수축을 유발하게 된다. 정맥의 기계적 압박은 와류를 생성하게 되고 이것이 정맥 혈관 내피와 혈관내막 매질의 손상을 일으켜 혈전 생성으로 인해 정맥 폐쇄를 유발한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가설이다. |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증, 흡연은 RVO 환자에 있어 더 흔히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신 질환은 망막 동맥의 경화를 유발하며 이 경우 동정맥 교차부에서 동맥의 정맥 압박이 더 심해지고 공통 외막초의 수축을 유발하게 된다. 정맥의 기계적 압박은 와류를 생성하게 되고 이것이 정맥 혈관 내피와 혈관내막 매질의 손상을 일으켜 혈전 생성으로 인해 정맥 폐쇄를 유발한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가설이다. | ||
=== 혈액학적 질환 === | === 혈액학적 질환 === | ||
몇몇 연구에서 BRVO의 발생과 높은 적혈구 용적에 기인하는 혈액의 과점도가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는데, 혈액 점성은 혈류량이 적거나 적혈구 응집이 높은 상태에서 증가하게 된다. | 몇몇 연구에서 BRVO의 발생과 높은 적혈구 용적에 기인하는 혈액의 과점도가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는데<ref>Trope GE et al. Abnormal blood viscosity and haemostasis in long-standing RVO. ''BJO''. 1983 Mar;67(3):137-42. [https://pubmed.ncbi.nlm.nih.gov/6824618/ 연결]</ref>, 혈액 점성은 혈류량이 적거나 적혈구 응집이 높은 상태에서 증가하게 된다<ref>Chen HC et al. Effect of isovolaemic haemodilution on visual outcome in BRVO. ''BJO''. 1998 Feb;82(2):162-7. [https://pubmed.ncbi.nlm.nih.gov/9613383/ 연결]</ref>. 또한 혈전 형성-혈전 용해의 균형이 깨지는 상황이 BRVO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여러가지 인자가 관련되었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을 통합한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오직 고호모시스테인혈증 (hyperhomocysteinemia) 나 항카디오리핀 항체 (anti-cardiolipin Ab) 만이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ref>Janssen MC et al. RVO : a form of venous thrombosis or a complication of atherosclerosis? A meta-analysis of thrombophilic factors. ''Thromb Haemost''. 2005 Jun;93(6):1021-6. [https://pubmed.ncbi.nlm.nih.gov/15968383/ 연결]</ref>. | ||
== 증상 == | == 증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