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저덱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1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효과)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오저덱스 (Ozurdex)'''{{망막}} 는 유리체강 내로 주입하는 부신피질 호르몬 (dexamethasone) 삽입물로서 방부제가 포함되지 않은 생체분해성 PLGA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에 중합시켜 유리체강 내에서 약물을 약 60일에서 180일에 걸쳐 서서히 방출시키는 제제이다.
'''오저덱스 (Ozurdex)'''{{망막}} 는 유리체강 내로 주입하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삽입물로서 방부제가 포함되지 않은 생체분해성 PLGA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에 중합시켜 유리체강 내에서 약물을 약 60일에서 180일에 걸쳐 서서히 방출시키는 제제로서, [[망막 정맥 폐쇄]]로 인한 황반부종 환자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어 미국 식약청의 허가를 받았다<ref>Kuppermann BD et al; Dexamethasone DDS P2 Study Group.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an intravitreous dexamethasone drug delivery system in patients w persistent ME. ''Arch Ophthalmol''. 2007 Mar;125(3):309-17. [https://pubmed.ncbi.nlm.nih.gov/17353400/ 연결]</ref>.
== 형태 ==
== 형태 ==
막대형으로 길이가 6mm, 직경이 0.46mm 이며, 22G 바늘을 사용하여 유리체강 내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막대형으로 길이가 6mm, 직경이 0.46mm 이며, 22G 바늘을 사용하여 유리체강 내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은 Pardo-López 등<ref>Pardo-López D et al. AC migration of dexametasone intravitreal implant (Ozurdex®).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2 Nov;250(11):1703-4. [https://pubmed.ncbi.nlm.nih.gov/21861084/ 연결]</ref>과 Bansal 등<ref>Bansal R et al. Wandering Ozurdex(®) implant.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2 Mar;2(1):1-5. [https://pubmed.ncbi.nlm.nih.gov/21960148/ 연결]</ref>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은 각각 전방 내 홍채고정 인공수정체안과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무수정체안에서 발생한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증례였고, 이후 후방 인공수정체안에서의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ref>Voykov B et al. Dislocation of dexamethasone intravitreous implant. Arch Ophthalmol. 2012 Jun;130(6):706. [https://pubmed.ncbi.nlm.nih.gov/22801827/ 연결]</ref>. 여러 연구에서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는데, 이전의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병력과 수정체낭의 결손 또는 섬모체소대의 약화 및 해리가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과 관련 있는 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은 Pardo-López 등<ref>Pardo-López D et al. AC migration of dexametasone intravitreal implant (Ozurdex®).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2 Nov;250(11):1703-4. [https://pubmed.ncbi.nlm.nih.gov/21861084/ 연결]</ref>과 Bansal 등<ref>Bansal R et al. Wandering Ozurdex(®) implant.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2 Mar;2(1):1-5. [https://pubmed.ncbi.nlm.nih.gov/21960148/ 연결]</ref>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은 각각 전방 내 홍채고정 인공수정체안과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무수정체안에서 발생한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증례였고, 이후 후방 인공수정체안에서의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ref>Voykov B et al. Dislocation of dexamethasone intravitreous implant. Arch Ophthalmol. 2012 Jun;130(6):706. [https://pubmed.ncbi.nlm.nih.gov/22801827/ 연결]</ref>. 여러 연구에서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에 대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는데, 이전의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병력과 수정체낭의 결손 또는 섬모체소대의 약화 및 해리가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전방 내 이동과 관련 있는 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참고}}
[[분류:망막]]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