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목적) |
잔글 (→대상 및 방법)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대상 및 방법 == | == 대상 및 방법 == | ||
RVO와 동반된 황반부종으로 인한 시력 저하를 보인 1,267명의 환자들에게 0.7mg, 0.35mg 덱사메타손 삽입물 또는 위약을 1회 치료하였다. 이후 동일 환자들을 대상으로 12개월까지 공개 라벨 연장 연구를 진행하였다. | |||
== 결과 == | == 결과 == | ||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이는데 걸린 기간이 두 가지 용량의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모두 의미 있게 짧았으며 치료 후 30일에서 90일째까지의 기간 동안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환자 비율도 두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 15글자 이상의 시력 저하를보인환자비율은 위약군에 비하여 0.7mg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모든 방문 시에 더 낮았다.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25 mmHg 이상의 안압을 보인 환자의 비율은 두 용량 치료군 모두에서 60 일째 16%로 가장 높았으나 180 일째에는 위약군과 차이가 없었다<br />이 후 12 개월까지의 공개라벨 연장연구에서는이전 연구대상들중 6 개월째 최대교정 시력이 84글자 이하이거나 중심망막두께가 250㎛ 이상인 경우 0.7mg 덱사메타손을 추가로 치료히였다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환자비율은 첫 치료 그리고 두번째 치료 후 60 일째 각각 30%와 32% 였고 10 mmHg 이상의 안압 상승을 보인 환자 비율도 첫 치료 후 12.6%, 두 번째 치료 후 15.4%로 유사하였다. 안압 상승은 일시적이었고 대부분 약물치료나 경과관찰 만으로 호전되었으나 두 번째 치료 후 추가로 10 .3%의 환자들에서 안압 저하를 위한 약물치료가 필요하였다 12개월째 백내장 진행은 2회 치료군 (29.8%) 에서 위약 치료군 (5.7%) 에 비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이는데 걸린 기간이 두 가지 용량의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모두 의미 있게 짧았으며 치료 후 30일에서 90일째까지의 기간 동안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환자 비율도 두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 15글자 이상의 시력 저하를보인환자비율은 위약군에 비하여 0.7mg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모든 방문 시에 더 낮았다. 덱사메타손 치료군에서 25 mmHg 이상의 안압을 보인 환자의 비율은 두 용량 치료군 모두에서 60 일째 16%로 가장 높았으나 180 일째에는 위약군과 차이가 없었다<br />이 후 12 개월까지의 공개라벨 연장연구에서는이전 연구대상들중 6 개월째 최대교정 시력이 84글자 이하이거나 중심망막두께가 250㎛ 이상인 경우 0.7mg 덱사메타손을 추가로 치료히였다 15글자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환자비율은 첫 치료 그리고 두번째 치료 후 60 일째 각각 30%와 32% 였고 10 mmHg 이상의 안압 상승을 보인 환자 비율도 첫 치료 후 12.6%, 두 번째 치료 후 15.4%로 유사하였다. 안압 상승은 일시적이었고 대부분 약물치료나 경과관찰 만으로 호전되었으나 두 번째 치료 후 추가로 10 .3%의 환자들에서 안압 저하를 위한 약물치료가 필요하였다 12개월째 백내장 진행은 2회 치료군 (29.8%) 에서 위약 치료군 (5.7%) 에 비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