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일 (화)
잔글
24번째 줄: 24번째 줄:


=== 염증 조절 ===
=== 염증 조절 ===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방수 내 PG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장도 있다.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드니솔론]] 또는 [[덱사메타손]] 같은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적은 정도의 안구내 염증에는 점안 [[플루오로메토론]]도 효과적이다.
 
방수 내 PG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장도 있다.
 
=== 항바이러스제 ===
=== 항바이러스제 ===
최근 valganciclovir로 전방에서 CMV를 제거하면 빌병이 호전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국소 간시클로버 (± 경구 간시클로버) 가 치료 후 포도막염 발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valganciclovir로 전방에서 CMV를 제거하면 빌병이 호전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국소 간시클로버 (± 경구 간시클로버) 가 치료 후 포도막염 발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