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4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일 (화)
잔글
26번째 줄: 26번째 줄: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드니솔론]] 또는 [[덱사메타손]] 같은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적은 정도의 안구내 염증에는 점안 [[플루오로메토론]]도 효과적이다.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드니솔론]] 또는 [[덱사메타손]] 같은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적은 정도의 안구내 염증에는 점안 [[플루오로메토론]]도 효과적이다.


방수 내 PG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장도 있다.
염증을 줄이기 위해 국소, 경구 NSAIDs 를 사용할 수 있다. NSAIDs는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을 피할 수 있고, 발작이 방수의 PG 농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항-프로스타글란딘 효과의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 항바이러스제 ===
=== 항바이러스제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