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일 연구 (2011-2013):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1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6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잔글 (→‎결과)
86번째 줄: 86번째 줄:
* 갑상샘 질환의 과거력 (NTG : OR 7.373, 95% CI 1.407~38.636)
* 갑상샘 질환의 과거력 (NTG : OR 7.373, 95% CI 1.407~38.636)
* 높은 안압 (NTG : OR 1.132, 95% CI 1.011~1.268 / mmHg)
* 높은 안압 (NTG : OR 1.132, 95% CI 1.011~1.268 / mmHg)
=== 시신경 유두의 크기 ===
선형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가능한 cofounders를 보정한 후, 나이, 성별, 안축장, 구면 대응치 (SE) 가 시신경 유두의 크기와 관련있었다 (P = 0.003, 0.029, < 0.001, < 0.001). 작은 시신경 유두군에서 녹내장안은 3.77% 였으며, 다른군보다 높았다 (P = 0.054). NTG는 이 군에서 더 빈번했다 (OR 1.86, P = 0.042)


== 결론 ==
== 결론 ==
남일면의 POAG 유병률은 이전의 전세계의 보고들보다 높았지만, 흑인이나 일본인에서 보고된 비율과 비슷했다. 평균 안압은 비녹내장안에 비해 POAG 안에서 높았지만, CCT는 차이가 없었다.
남일면의 POAG 유병률은 이전의 전세계의 보고들보다 높았지만, 흑인이나 일본인에서 보고된 비율과 비슷했다. 평균 안압은 비녹내장안에 비해 POAG 안에서 높았지만, CCT는 차이가 없었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