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45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3월 11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연령별 굴절 이상의 빈도에서도 8~13세까지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굴절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연령과도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은 이 연령대보다는 좀 더 높은 연령대인 12세 이후 환자들에서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근시가 발생하고 나서 고도 근시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시사한다. 근시 억제 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고도 근시 환자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12세 미만의 초기 학동기 소아에 대한 치료가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연령별 굴절 이상의 빈도에서도 8~13세까지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굴절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연령과도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은 이 연령대보다는 좀 더 높은 연령대인 12세 이후 환자들에서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근시가 발생하고 나서 고도 근시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시사한다. 근시 억제 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고도 근시 환자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12세 미만의 초기 학동기 소아에 대한 치료가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추정해 볼 수 있다.
== 소아에서의 근시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
|-
!||1세 미만||1~2세||2~3세||3~4세
|-
|colspan="5"|동등시 (isometropia)
|-
|근시||≥ 5.00 D||≥ 4.00 D||≥ 3.00 D||≥ 2.50 D
|-
|원시 (사시 없음)||≥ 6.00 D||≥ 5.00 D||≥ 4.50 D||≥ 3.50 D
|-
|내사시를 동반한 원시||≥ 2.00 D||≥ 2.00 D||≥ 1.50 D||≥ 1.50 D
|-
|난시||≥ 3.00 D||≥ 2.50 D||≥ 2.00 D||≥ 1.50 D
|-
|colspan="5"|사시가 없는 부등시 (anisometropia)
|-
|근시||≥ 4.00 D||≥ 3.00 D||≥ 3.00 D||≥ 2.50 D
|-
|원시 (사시 없음)||≥ 2.50 D||≥ 2.00 D||≥ 1.50 D||≥ 1.50 D
|-
|난시||≥ 2.50 D||≥ 2.00 D||≥ 2.00 D||≥ 1.50 D
|}


== 치료 ==
== 치료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