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기능)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주눈물샘]] | * [[주눈물샘]] | ||
* [[덧눈물샘]] : 볼프링샘 (Wolfring's gland), 크라우제샘 (Krause's gland) | * [[덧눈물샘]] : 볼프링샘 (Wolfring's gland), 크라우제샘 (Krause's gland) | ||
== 변화 == | |||
Prager<ref>Prager A. [Macroscopic and microscopic investigations on senile atrophy of the LG (preliminary report)]. ''Bibl Ophthalmol''. 1966;69:146-58.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5930665/ 연결]</ref>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눈물샘의 무게가 감소한다고 하였으며, Bingham 등<ref>Bingham CM et al. Calculated CT volumes of LG in normal Caucasian orbits.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3 May-Jun;29(3):157-9. [https://pubmed.ncbi.nlm.nih.gov/23503056/ 연결]</ref>은 눈물샘의 부피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고 하였다. Ueno 등<ref>Ueno H et al. MRI of the LG. Age-related and gender-dependent changes in size and structure. ''Acta Radiol''. 1996 Sep;37(5):714-9. [https://pubmed.ncbi.nlm.nih.gov/8915282/ 연결]</ref>은 남녀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여성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눈물샘의 부피 및 조영증가가 감소한다고 하였고, 이는 호르몬이 눈물샘의 발달과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Lee 등<ref>Lee JS et al. CT dimensions of the LG in healthy orbits. J Craniofac Surg. 2013 May;24(3):712-5. [https://pubmed.ncbi.nlm.nih.gov/23715005/ 연결]</ref>은 CT로 한국인의 정상 눈물샘 크기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였고 눈물샘의 세로 길이, 관상면 길이, 세로 너비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고 하였다. Landis 등은 [[갑상샘 눈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하여 눈물샘의 부피가 크며 이는 주관적인 눈물 흘림 증상 및 안구 돌출 정도와 비례한다고 보고하였다. | |||
조직학적 변화를 살펴보면 Damato 등<ref>Damato BE et al. Senile atrophy of the human LG : the contribution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BJO''. 1984 Sep;68(9):674-80. [https://pubmed.ncbi.nlm.nih.gov/6331845/ 연결]</ref>은 노화에 따라 눈물샘 주위와 눈물관 주위의 섬유화와 눈물샘의 위축 등을 보고하였고, Roen 등<ref>Roen JL et al. Aging changes in the human LG : role of the ducts. ''CLAO J''. 1985 Jul-Sep;11(3):237-42. [https://pubmed.ncbi.nlm.nih.gov/4042313/ 연결]</ref>도 역시 노화에 따라 눈물관 주위의 섬유화와 눈물샘의 만성 염증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는 눈물 분비를 감소시켜 안구 건조를 발생시킨다고 하였다. | |||
{{참고}} | {{참고}} | ||
[[분류:성형안과]] | [[분류:성형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