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렛 자발리아 증후군 (Urrets-Zavalia syndrome, UZS)'''{{각막}} | '''유렛 자발리아 증후군 (Urrets-Zavalia syndrome, UZS)'''{{각막}} | ||
== 역사 == | == 역사 == | ||
1963년 유렛-자발리아 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한 6명의 원추 각막 환자에서 홍채 위축을 동반한 비가역적인 마비성 동공 산대와 이차 녹내장의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을 보고하면서 유렛-자발리아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전체층 각막 이식, 데스메막 박리 내피 각막 이식 및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을 퐇마하여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 백내장 수술, 섬유주 절제술 같은 다양한 안내 수술 후에 마비성 동공 산대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 1963년 유렛-자발리아<ref>Urrets Zavalia A Jr. Fixed, dilated pupil, iris atrophy and secondary glaucoma. ''AJO''. 1963 Aug;56:257-65. [https://pubmed.ncbi.nlm.nih.gov/14061605/ 연결]</ref>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한 6명의 원추 각막 환자에서 홍채 위축을 동반한 비가역적인 마비성 동공 산대와 이차 녹내장의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을 보고하면서 유렛-자발리아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전체층 각막 이식, 데스메막 박리 내피 각막 이식 및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을 퐇마하여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 백내장 수술, 섬유주 절제술 같은 다양한 안내 수술 후에 마비성 동공 산대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 ||
국내에서는 박 등<ref>Park SH et al. UZS following iris-claw phakic IOL implantation. ''J Refract Surg''. 2008 Nov;24(9):959-61 [https://pubmed.ncbi.nlm.nih.gov/19044240/ 연결]</ref> 이 고도근시 환자에서 홍채 고정 안내렌즈 삽입술 후 1예, 하 등<ref> Ha CI et al. Three cases of UZS following deep lamellar keratoplasty (DLKP). ''JKOS'' 2008;49:1857-61.</ref>이 각막 화학 손상 2예와 격자 이상증 1예에서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 후 3예의 유렛-자발리아 증후군을 보고한 바 있으며, 최근 Kim 등<ref>Kim YC et al. Analysis of the etiolog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fixed dilated pupil after intraocular surgery. ''JKOS'' 2015;56:47-54</ref>은 전층 각막 이식,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마비성 동공산대 15예를 특징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여 보고하였다. | |||
== 병인 == | == 병인 == | ||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병인론 중 하나는 수술 후 일시적인 안압 상승 및 이로 인한 홍채의 허혈성 손상이 마비성 동공 산대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병인론 중 하나는 수술 후 일시적인 안압 상승 및 이로 인한 홍채의 허혈성 손상이 마비성 동공 산대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